오픈AI ‘챗GPT’ 탄생 3년...산업과 일상 흔들어
AI 패권 두고 미·중·실리콘밸리 각축… 기술 경쟁 가속
생성형 시대의 명암… 윤리와 통제, 인류 과제 떠올라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연합뉴스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말을 거는 기계'는 상상이 아닌 현실이 됐다. 2022년 11월 오픈AI의 ‘챗GPT’가 세상에 등장한 순간 인류는 처음으로 인공지능(AI)과 대화하는 경험을 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챗GPT의 글로벌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10억명, 주간 활성 이용자(WAU)는 8억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의료·교육·법률·연구·행정 등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며 AI는 더 이상 미래 기술이 아닌 ‘현재의 동료’로 자리했다.

◆글로벌 빅테크의 전면전… AI 패권 질주 가속

챗GPT의 성공은 실리콘밸리 전체를 들썩이게 했다. 구글의 ‘제미나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코파일럿’, 앤트로픽의 ‘클로드’, 퍼플렉시티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앞다퉈 생성형 AI 시장에 진입했다. 

특히 올해 초 중국이 저비용으로 개발한 ‘딥시크(DeepSeek)’가 챗GPT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이자 미·중 간 AI 패권 경쟁이 본격화됐다. 기술은 더 이상 기업 간 경쟁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척도가 된 셈이다.

AI 기술 경쟁의 중심축은 단연 오픈AI다.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인물인 샘 올트먼과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AI 독점을 막고 인류 전체의 이익을 위한 기술을 만들자”는 철학으로 2015년 비영리 연구소 형태로 설립했다. 

이후 2019년 수익 상한(cap-profit) 구조를 갖춘 영리 자회사로 전환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MS)로부터 10억달러 투자를 유치해 오늘날의 거대 AI 기업으로 성장했다.

오픈AI는 현재 전 세계 12번째이자 아시아 3번째 지사인 ‘오픈AI 코리아’를 출범시키며 한국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한국시장을 위한 ‘경제 청사진’을 공개하고,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기업과의 협력도 타진 중이다.

◆국내 기업 '소버린 AI' 총력… 정부, 주권 수호 나서

AI 패권 경쟁이 미국과 중국 중심으로 빠르게 전개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AI 주권(소버린 AI)’ 확보를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네이버는 초대형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자사 검색, 쇼핑, 클라우드 등 다양한 서비스에 AI를 접목하고 있으며,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생태계 확산을 유도하고 있다.

카카오는 자체 AI 모델 ‘카나나’ 개발과 더불어 오픈AI와 협업해 ‘카카오톡 내 챗GPT 결합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최근 샘 올트먼 CEO의 방한을 계기로 협력이 본격화됐으며 이달 중 경량 챗GPT를 결합한 카카오톡 서비스가 공개될 예정이다.

한국 정부도 ‘AI 주권’ 확보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2028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장을 확보하고, 네이버클라우드·업스테이지·SK텔레콤·NC AI·LG AI연구원 등 5개 컨소시엄이 참여하는 독자적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정부는 올해 연말 1차 평가를 거쳐 4개로 대상을 추릴 계획이다. 반도체 기술력과 한류 콘텐츠, 높은 기술 적응력을 지닌 한국은 글로벌 AI 산업의 핵심 테스트베드로 부상하고 있다.

◆AI 에이전트 시대 임박… 기술 윤리 정립이 새 과제

AI 기술은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AI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다. 오픈AI가 개발 중인 GPT-5는 일반 모델과 추론 모델을 통합해 ‘범용 인공지능(AGI)’에 한 발 더 다가서는 것을 목표로 한다.

MS가 발표한 ‘2025 업무동향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의 46%가 이미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업무 절차를 자동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몇 년 안에 AI가 조직 내 역할 구조를 재정의하고 인간과 AI가 협력하는 ‘하이브리드 노동 시장’이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기술의 빠른 발전만큼 우려되는 상황도 존재한다.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의 ‘환각(hallucination)’ 문제와 딥페이크, 가짜뉴스 확산은 사회적 신뢰를 흔드는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선거와 같은 정치적 이벤트에서 AI 기술이 악용될 경우 사회 혼란이 커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AI 발전 속도에 윤리와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면 위험은 피할 수 없다”며, 기술 윤리와 법적 제도 정비가 인류의 다음 과제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