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데이터처, 9월 산업활동동향 발표

[서울와이어=김익태 기자] 9월 산업활동 지표가 전월 대비 반등하며 경기 회복 기대감을 키웠다.
산업생산은 한 달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도체 기기 등에서 기계·장비 수요가 늘며 투자 심리가 회복된 모습인 반면 소비는 2개월 연속 감소해 내수 회복세는 여전히 제한적인 흐름을 보였다.
31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는 115.5(2020년=100)로 전월보다 1.0%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지난 8월 -0.3%로 소폭 감소했으나 9월에는 서비스업(1.8%)과 건설업(11.4%)이 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건설업 생산은 지난해 1월 이후 20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광공업은 자동차(-18.3%), 기계장비(-6.9%) 부진으로 1.2% 감소했다. 다만 반도체 생산은 전월 대비 19.6% 급증해 전체 하락폭을 일부 상쇄했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2.7% 증가했다. 반도체 제조 장비 등 기계류(9.9%)와 선박·항공기 등 운송장비(19.5%) 투자가 모두 확대됐다.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라 관련 공사 실적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건설기성도 전월 대비 11.4% 늘었다. 건축(14.8%)과 토목(2.9%) 모두 공사 실적이 개선되며 회복 흐름을 이끌었다.
소비는 1차,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에도 불구하고 감소세를 이어갔다. 9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1% 감소했다. 내구재 판매는 3.9% 증가했으나 준내구재(-5.7%)와 비내구재(-0.1%) 판매가 줄며 전체 흐름을 끌어내렸다.
업태별로는 백화점(5.4%), 대형마트(7.3%), 편의점(1.3%) 등에서는 판매가 늘었지만 면세점(-5.6%), 슈퍼마켓·잡화점(-2.9%) 등에서는 감소했다. 의류 등 의복 부문은 최근 4개월 연속 증가 후 조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분기 기준으로는 회복세가 감지된다. 3분기 전체 소비판매액지수는 전기 대비 1.5% 증가하며 2021년 3분기 이후 16분기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가 7~9월로 3분기 전체로 보면 소비는 2분기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며 “향후 내수 흐름 반전에 긍정적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향후 경기 흐름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