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서 "기존 공급량으론 부족"...반도체 제조 도전 시사

[서울와이어=김민수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반도체 공장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6일 테슬라 연례 주주총회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을 한국의 삼성전자 공장, TSMC의 대만·텍사스·애리조나 공장 등 4곳에서 생산한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그러면서 머스크는 “내가 고민 중인 것 중 하나는 어떻게 하면 충분한 칩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테슬라의 파트너사인 TSMC와 삼성에 대해 충분히 존중하고 인텔과도 협업할 수 있겠지만, 우리가 원하는 양의 칩을 확보할 다른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며 “아마도 거대한 칩 제조공장(gigantic chip fab)을 건설해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머스크의 이같은 발언은 테슬라가 반도체 제조에 도전하겠다고 시사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는 테슬라가 기존에 전기차와 배터리를 생산하는 테슬라 공장 기가팩토리와 비교해 "기가팩토리보다 훨씬 더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해당 공장을 언제, 어디에 건설할지 등 구체적인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이와함께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택시인 '사이버캡', 휴머노이드 로봇인 '옵티머스' 등의 개발이 AI 기술에 힘입어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고 소개한 뒤 최근 대부분의 시간을 테슬라의 칩 설계 팀과 함께 자사 전용 고성능 칩 개발에 할애하고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엔비디아의 칩을 “탁월한 성능을 지닌 제품”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설계에 제한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 대비 전력 소모량은 3분의1, 비용은 10% 미만인 칩을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