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포지엄에 앞서 환영사를 하고 있는 서호영 대한항공 인력관리본부장. 사진=대한항공
심포지엄에 앞서 환영사를 하고 있는 서호영 대한항공 인력관리본부장. 사진=대한항공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대한항공은 지난 7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항공응급콜 위탁 운영 기관인 인하대병원과 공동으로 ‘제1회 항공응급콜 전문성 및 리스크 관리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고령 승객 증가와 장거리 노선 확대에 따라 기내 응급 의료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향후 통합 항공사 출범을 앞두고 계열사 관계자들도 참여해 환자 승객 운송 체계와 의료 네트워크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심포지엄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계열사 임직원 60여명, 인하대·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 의료진 2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서호영 대한항공 인력관리본부장의 환영사와 이택 인하대병원장의 축사로 시작해 ▲항공응급콜 운영 현황 ▲환자 승객 운송 사례 ▲국외 항공의학 동향 ▲전문 교수 강연 등으로 진행됐다.

대한항공은 2016년부터 인하대병원과 협력해 ‘항공응급콜’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내에서 24시간 전문 의료진의 자문을 받을 수 있으며, 중증 환자를 위한 원격 심전도 등 첨단 의료장비도 비치하고 있다.

이날 참석자들은 기내 의료진의 응급처치에 대한 법적 보호 제도와 국제적 사례도 함께 검토했다. 현행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에 따라 선의의 의료행위에는 민·형사상 책임이 면제된다. 미국 등 주요국 역시 중과실이 없는 한 기내 응급처치 의료진에게 법적 책임을 묻지 않는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통합 항공사 출범 대비 전문지식과 표준 프로토콜을 공유함으로써 통합 항공 의료 서비스 표준을 조기 확립하고 안전 경쟁 우위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대한항공은 올해 첫 ‘항공응급콜 전문성 및 리스크 관리 심포지엄’ 개최를 시작으로 매년 1회 이상 정례화해 기내 응급 상황 대응 역량을 고도화하고 안전 경쟁력을 체계적으로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