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포항제철소 1고로 '종풍식' 진행

1973년 6월9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제1고로에서 첫 출선에 성공한 뒤 박태준 회장(가운데)을 비롯한 포스코 직원들이 만세를 외치며 환호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1973년 6월9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제1고로에서 첫 출선에 성공한 뒤 박태준 회장(가운데)을 비롯한 포스코 직원들이 만세를 외치며 환호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철강 역사의 시작이자 경제 발전의 기반이 됐던 포항의 1고로(용광로)가 48년 6개월 간 임무를 완수하고 가동을 완전히 중단했다.

포스코는 29일 포항제철소에서 김학동 사장, 이시우 안전환경본부장, 양원준 경영지원본부장, 남수희 포항제철소장, 이덕락 기술연구원장, 포스코 노동조합노경협의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1고로 종풍식을 진행했다. 

종풍이란 수명이 다한 고로의 불을 끄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1973년 1고로에서 처음 쇳물이 생산됐다. 1고로의 준공으로 대한민국은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을 자력으로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포항 1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의 양은 총 5520만톤에 달하는 등 조선, 자동차, 가전 등 국내 제조업 성장에 밑바탕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국가 경제 성장을 뒷받침한 공로를 인정 받아 철강협회는 첫 출선일인 6월9일을 철의 날로 지정해 기념한다.

김학동 포스코 사장은 “1고로 첫 출선 당시 고 박태준 명예회장께서 직원들과 함께 만세를 외치며 눈물 흘리시던 모습이 아직도 선한 데 종풍을 맞게돼 만감이 교차한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는 1고로의 퇴장과 함께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달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에 2027년까지 연간 200만톤 이상의 쇳물을 생산할 수 있는 전기로 도입 계획을 공개했다.

아울러 포스코는 1고로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기리기 위해 고로 내부를 완전히 냉각하고 철거 작업을 거쳐 ‘포항1고로 뮤지엄’으로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