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1월(85.5%)이후 8년 만에 최대
1∼2년 사이 비중 20∼30%포인트 확대
금리인상 대비 고정금리 선택 고려해야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비율이 거의 8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금리 상승기에는 미래 이자 부담 우려에 따라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로 가계대출을 받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늘어난다.
그러나 올해 최소 두 차례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변동금리 비중은 더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금리 인상에 대비해 고정금리 선택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3일 한국은행 최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7.7%로 10월(20.7%)과 비교해, 한 달 사이 3.0%포인트나 하락했다.
나머지 82.3%는 변동금리가 차지한다는 것으로, 이런 비중은 2014년 1월(85.5%) 이후 7년 10개월 만에 최대 수준이다. 변동금리 비중은 2020년 초저금리 환경 속에서도 63.8% 수준을 유지했는데, 불과 1∼2년 사이 비중이 20∼30%포인트나 확대된 것이다.
은행권 대출금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다시 오르기 시작해 지난 11월 7년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은 3.51%, 신용대출 5.16%였다. 이런 금리 상승 추세에도 불구하고 변동금리 비중은 82%를 넘어섰다.
이는 코로나19 사태와 저금리 기조가 2년 가까이 이어지자 ‘앞으로 금리가 올라도 많이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그만큼 강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작년 11월 19일 기준 신규 코픽스(COFIX)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3.440∼4.861% 수준이었다. 하지만 코픽스가 아닌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혼합형(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는 연 3.760∼5.122%로, 변동금리보다 하단이 0.320%포인트, 상단이 0.261%포인트 높았다.
고정금리가 더 비싼 상황에서, 대출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대출 기간 중 그만큼 금리가 더 오를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야만 고정금리를 선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올해 두 차례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 금리 인상에 대비해 고정금리 선택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기존 변동금리 대출자 역시 중도상환수수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을 꼼꼼히 따져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 [신년사] 캠코 "국민, 정부가 기대하는 성과로 리딩플랫폼 도약할 것"
- 금감원, 부서장 90% 교체… 신규 콘트롤 타워 역할 '주목'
- [조화로운 신년 스케치] '페이크퍼'부터 '비건'까지… MZ세대 '공생법'
- [신년사] 유병규 HDC현산 대표 "온리원 디벨로퍼 될 것"
- [신년사] 권준학 NH농협은행장 “고객 중심 ‘초혁신 디지털 뱅크’ 도약”
- [신년사]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취임…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 구축"
- [CEO 투데이] 윤종규냐 조용병이냐… 새해부터 뜨거운 리딩뱅크 자존심 경쟁
- [신년사] 김남호 DB그룹 회장 "자산버블 붕괴 가능성 예의주시해야"
- 대출 문턱 작년보다 더 높다…금융당국 수장들 "가계부채 엄격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