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중노위에 조정 신청 등 파업 예고

삼성전자노조 공동교섭단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4일 자정까지 사측의 임금교섭 최종안에 대해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무려 90.7%가 반대표를 던지면서 부결됐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삼성전자노조 공동교섭단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4일 자정까지 사측의 임금교섭 최종안에 대해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무려 90.7%가 반대표를 던지면서 부결됐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 사측이 제시한 임금·복리후생 교섭 최종안이 노조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됐다. 삼성전자의 창립 이래 첫 노사 임금교섭이 파행을 빚으면서 노조의 파업 가능성이 높아졌다. 

25일 삼성전자노조 공동교섭단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4일 자정까지 진행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90.7%가 반대표를 던졌다. 노조 측은 성명을 통해 "압도적인 부결 결과로 노조 지도부는 조합원들의 뜻을 매우 엄중히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진윤석 노조위원장도 책임을 지고 사퇴의사를 밝혔다. 삼성전자 노조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조정을 신청해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하고 사측에 맞서 더 큰 투쟁을 조직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중노위에서 내놓은 조정안을 노사 중 한 쪽이 거부할 경우 노조는 합법적인 쟁의행위에 들어갈 수 있다. 삼성전자 측은 "노조가 원할 경우 성실하게 대화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해 8월 창사 52년만에 첫 노사 단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부터 임금교섭을 진행해왔다. 노조는 그간 전 직원 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 매년 영업이익의 25%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노사협의회 협상에서 정한 기존 임금인상분 외 추가 인상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조 측은 임금인상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데 아쉬움을 나타냈지만, 임금피크·휴가제 등 노사가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노사 양측은 15차례 협상을 통해 의견을 좁혀온 만큼 사측이 내민 최종안이 통과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다. 다만 노조원 투표에서 압도적인 반대로 합의가 무산되면서 파업 가능성이 커졌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