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형 보험사기 형태… 사기액만 무려 1643억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최근 3년간 실손의료보험 사기로 적발된 인원만 3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발 인원 중 병원·브로커 관련 인원이 전체 34%로 가장 많았다.
실손보험은 환자가 부담하는 의료를 포괄적으로 보장하는 상품이다. 병원, 브로커가 공모하는 조직형 보험사기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금감원은 이처럼 실손보험 사기에 대한 소비자 주의를 당부하고 소비자경보인 '주의'를 발령한 바 있다.
1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 등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실손보험 사기 적발 인원은 3만735명이다. 2020년 실손보험 사기 적발 인원은 1만3800여명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실손보험 사기액은 1643억원에 달하는 등 2020년 실손보험 사기액도 전년 대비 30% 증가한 53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런 사기로 지난해 3분기 말 실손보험 위험손해율은 131.0%를 기록했다.
최근 보험사기 브로커 조직은 기업 활동으로 가장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대규모 환자를 불법 모집하는 등 합법적인 형태로 위장했다. 보험사들도 사기로 인한 적자 증가로 올해 실손보험료를 평균 14%가량 인상했다.
결국 실손보험료의 인상으로 소비자의 부담만 늘어나는 모습이다. 금감원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실손보험료 사기에 대해 유관기관과 함께 조직형 보험 사기 조사와 적발을 강화하는 한편 행정 제재도 엄정하게 부과할 방침이다.
- 실손보험 중복가입 두 얼굴… 청구액 크기 따라 보상 '천지차이'
- 보험료 폭탄 손보업계, 임직원에 수천만원 성과급 파티 예고
- 비트코인 '4700만원대' 회복…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영향
- 'RCEP협정' 국내 공식 발효
- 설날 당일 고속도로 귀경정체 '오후 4~5시' 절정
- 윤석열, 이재명 후보 겨냥 일침… "허세부릴거면 양자토론 하지말자 하든가"
- 외교부, 우크라이나 현지교민 철수 '권고'
- 실손 전환 측면 지원... 보험협회, 보험다모아 기능 개편 추진
- DB손보, 경품도 걸었다... 4세대 실손 전환 총력전
- [보험풍향계] 반값 보험료 내걸어도... 4세대 실손보험 관심 '시큰둥'
- "이 정도면 돈 복사"... 8년간 입원보험금으로 2억 탄 60대
정현호 기자
hs1042@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