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빈소 마련 공영장례 치러

투병 생활과 생활고 끝에 삶을 마감한 ‘수원 세 모녀‘의 빈소가 24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투병 생활과 생활고 끝에 삶을 마감한 ‘수원 세 모녀‘의 빈소가 24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투병 생활과 생활고 끝에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한 ‘수원 세 모녀’의 빈소가 24일 경기 수원시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됐다.

빈소에는 영정사진도 없이 국화 꽃 사이에 60대 모친과 40대 두 딸의 이름이 적힌 위패 세 개만 나란히 놓였다.

세 모녀의 장례는 공영장례로 치러지게 됐다. 친인척이 주검 인수를 포기하면서 수원시가 공영장례를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공영장례는 시가 빈소를 차리고 장례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날 조문을 위해 빈소를 찾은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세 모녀를 추모하며 복지체계 점검을 약속했다.

수원시는 25일 오후 2시쯤 원불교 의식으로 세 모녀 추모식을 할 예정이다. 발인은 오는 26일 오전 11시30분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통상 무연고자의 경우 빈소를 하루만 운영하지만 고인이 세 명이어서 사흘 동안 빈소를 운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수원 세 모녀는 지난 21일 오후 2시50분쯤 수원시 권선구 한 다세대주택에서 숨진채 발견됐다. 투병 생활을 이어가던 이들은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