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1469건 중 610건 낙찰
서울 아파트 낙찰률, 36.5%… 전월 대비 9.9%p↑
경기도 아파트 낙찰률, 8년 만에 최저점 기록해

최근 부동산 경매시장의 분위기가 한풀 꺾인 모습이다. 사진=이태구 기자
최근 부동산 경매시장의 분위기가 한풀 꺾인 모습이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최근 전국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빠진 가운데 경매시장도 한풀 꺾인 분위기다.

10일 지지옥션의 ‘2022년 8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1469건으로 이 중 610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41.5%로 전월(43.3%)에 비해 1.8%포인트 하락했다. 낙찰가율은 전월(90.6%) 대비 4.7%포인트 하락한 85.9%를 기록했다. 이는 2019년 9월(84.8%)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평균 응찰자 수는 5.6명으로 올 4월(8.0명)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36.5%로 전월(26.6%) 보다 9.9%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낙찰가율은 전월(96.6%) 대비 2.9%포인트 하락한 93.7%로 집계돼 올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월(3.0명) 보다 2.9명이 많은 5.9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와 인천 아파트 경매지표는 모두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낙찰률은 44.0%로 전월(45.6%) 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낙찰가율은 82.9%로 전월(92.6%) 대비 9.7%포인트 하락하면서 2014년 1월(82.2%) 이후 8년 만에 최저점을 나타냈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전월(31.3%) 보다 0.8%포인트 하락한 30.5%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78.0%로 전월(89.1%) 대비 11.1%포인트 떨어지면서 올해 처음으로 70%대에 진입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4.0명으로 전월(4.5명) 보다 0.5명 줄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유일하게 울산 아파트 낙찰가율이 상승했다. 낙찰가율은 88.1%로 전월(86.5%)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부산 아파트 낙찰가율은 83.5%로 전월(91.4%) 대비 7.9%포인트 하락하면서 2020년 2월 이후 2년6개월 만에 80%대로 떨어졌다.

전북(79.7%) 아파트 낙찰가율은 전월(99.1%) 보다 19.4%포인트 떨어져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어 강원(99.4%)이 8.5%포인트 하락하면서 3개월 만에 100% 밑으로 떨어졌다. 제주(86.8%)와 경남(87.9%)은 각각 3.0%포인트, 1.1%포인트, 전남(84.3%)은 0.2%포인트 하락했다. 2건이 낙찰된 세종은 79.5%의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