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사·협력사·운송사 피해 최소화에 노력 중"

지난 7일 재가동에 들어간 포스코 포항제철소 1열연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지난 7일 재가동에 들어간 포스코 포항제철소 1열연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포스코가 태풍 힌남노로 침수를 피해를 입은 포항제철소 복구 기간 동안 공급사·협력사·운송사를 지원할 ‘종합 대책‘을 내놨다. 회사는 이를 통해 철강산업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구상이다. 

포스코는 12일 포항제철소에 원료·설비·자재를 납품하는 국내 공급사의 매출감소·재고증가·유동성 악화 등 피해 현황을 파악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장 공급사 매출 감소를 막기 위해 포스코장가항불수강유한공사(PZSS)등 해외법인 납품을 추진할 예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국내 상사를 통해서도 수출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지원하기로 했다. 해외 구매를 축소하는 한편 광양제철소 증산에 따른 포장자재 등 소요량 증가분은 포항제철소 공급사에게 우선 발주가 이뤄진다. 

그동안 입고가 전면 중단된 스테인리스 스크랩의 경우 9월 발주량을 평월 대비 50%로 확정했다. 스크랩을 적치할 야드 복구 전인 10월까지 발주물량 입고가 진행될 전망이다. 

포스코는 협력사들의 작업물량 감소, 고용불안 등 우려 해소에도 적극 나섰다. 이에 철강 ESG상생펀드 338억원과 상생협력특별펀드 1369억원 등 총 1707억원을 활용한 저리 대출과 같은 유동성 지원책을 세웠다.

포스코 관계자는 “협력사들과 협의해 인력·장비를 최대한 복구작업에 투입해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복구 자금의 경우 장기·저리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항제철소 제품을 운송하는 협력 운송사들과 상생을 위해서도 노력 중이다. 포스코에 따르면 운송사들은 광양제철소 전환 생산으로 출하량 감소분이 상쇄돼 10월 중 평월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다. 

아울러 포스코는 10월 3후판 및 1선재공장을 시작으로 ▲11월 2후판 및 3·4선재 ▲12월 2열연, 2냉연, 2선재, 스테인리스 2냉연공장 등을 단계적으로 복구해 나가기로 했다. 

포스코 측은 “복구가 진행 중인 2열연공장 등에서 필수로 생산해야 하는 일부 제품은 광양제철소에서 대체 공급이 가능하다”며 “고객사는 포항제철소에서 공급받던 열연, 냉연, 전기강판 제품을 이전과 같이 정상적으로 주문해 납품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