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군의 대조영함이 2015년 10월15일 일본 가나가와현 앞 사가미만 해상에서 열린 일본 해상자위대 관함식 사전 행사에 참가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 해군의 대조영함이 2015년 10월15일 일본 가나가와현 앞 사가미만 해상에서 열린 일본 해상자위대 관함식 사전 행사에 참가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우리 해군이 다음 달 열리는 해상자위대 창설 70주년 관함식에 참가한다. 2015년 이후 7년 만이다.

국방부는 지난 27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논의 등을 거쳐 다음 달 6일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만에서 열리는 일본 해상자위대 관함식에 참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거 일본 주관 국제 관함식에서 우리 해군이 두 차례 참가했던 사례와 국제관함식 관련 국제관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국방부는 “이번 국제관함식을 계기로 개최되는 다국간 인도주의적 연합훈련과 30여개국 해군참모총장이 참석하는 서태평양해군심포지움 참석은 우방국 해군과의 우호협력 증진은 물론 우리 해군이 주변국과 국제사회와의 해양안보협력을 강화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로 야기된 한반도 주변의 엄중한 안보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 해군의 이번 국제관함식 참가가 갖는 안보상의 함의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고 강조했다.

대신 이번 관함식에는 전투함이 아닌 군수지원함인 1만톤급 소양함을 보낸다. 소양함은 29일 경남 진해항을 출항해 다음 달 1일 일본 요코스카항에 입항할 예정이다. 이후 다음 달 6일 국제 관함식 본행사에 참가한 뒤 참가국 함정들과 7일까지 다국간 연합훈련을 실시한다.

정부는 한일관계 개선과 안보 협력을 위해 관함식 참가를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해상자위대는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 군기인 ‘욱일기’와 유사한 깃발을 사용해 관함식 참가를 두고 논란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앞서 한국은 2002년과 2015년 일본 관함식에 참가했다. 일본은 1998년과 2008년 한국 관함식에 참가했다. 해상자위대는 2018년에도 제주도에서 열린 국제 관함식에 초청됐지만 해상자위대 깃발 대신 일본 국기를 사용해 달라는 한국의 요청을 거부하면서 결국 불참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