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책 행정·사고 수습 책임자로서 부적절 처신' 도마 위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이태원에서 발생한 압사 참사 현장 수습과 행정 조치에 주력하겠다고 입장을 냈다. 하지만 여론의 시선이 곱지 않다. 박 구청장이 사고 18시간 만에 비로소 공식입장을 내면서다.
용산구에 따르면 박 구청장은 이와 관련해 지난 30일 오후 4시 “안타까운 사고에 참담할 따름”이라며 “사태가 수습될 때까지 구정 운영사항을 제외한 가용 가능한 물적·인적 자원을 동원해 사고 수습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고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 이런 참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면서 관내 다중이용시설과 상업용 건축물의 시설 안전점검을 비롯한 겨울철 대비 화재예방시설을 완벽히 점검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이태원에서 압사로 인한 대규모 참사가 발생한 뒤 지자체의 무능한 행정이 사고를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이를 의식한 모양새다. 그가 취임 100일을 기념해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도 논란이 됐다.
‘취임 100일 기념 공무원들과 온라인 소통 행보’라는 글이 여론에 뭇매를 맞았다. 이에 용산구는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용산구청 관계자는 “해당 글은 구청장 본인과 구에서 직접 올린 게시물이 아닌 일반 시민이 올린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현재 박 구청장 명의의 인스타그램 계정은 비공개로 전환된 상태로 유튜브 채널 영상도 모두 삭제됐다. 용산구는 사태 수습에 집중하기 위해 이뤄진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구는 박 구청장의 시간대별 구체적인 동선도 공개했다. 무대책 행정에 대한 비난 여론을 의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용산구는 지난 27일 부구청장 주재로 핼러윈 데이 대책회의를 열었다고 해명했다.
당시 직원 150여명을 동원해 비상근무 체제를 수립하고, 대규모 인파 운집으로 벌어질 사고를 막기 위해 안전사고 예방 대책을 논의했다. 한편 용산구는 유관기관과 유기적인 협력으로 사태 진정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박 구청장은 오는 12월31일까지를 애도기간으로 선포하고 관내 행사와 단체활동 등을 일절 중단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아울러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에 31일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는 한편 유가족에게 전담 공무원을 배치하고 피해자 치료비용과 사망자 장례비용 지급, 재해·재난 구호금 지원을 검토 중이다.
- 한덕수 “사상자 혐오 발언·사고영상 공유 절대 자제 부탁”
- 이태원 대참사 전국민적 애도… 지역 축제·행사 '올스톱'
- [이태원 대참사] 사망자 늘어 154명...여성 1명 추가
- [포토] 오세훈 서울시장 "이제 수습이 굉장히 중요하다"
- [이태원 대참사] 사망자 2명 늘어난 153명… 12명은 신원 미확인
- [이태원 안전실종 긴급진단] 현장 대책 부재가 참사 키웠다
- 100명이 밀면 18톤 압력… 죽음의 덫된 골목길 밀집 인파
- 尹, 지지율 35.7%… 4달 만에 30%대 중반 넘어 [리얼미터]
- "돈 벌 기회 콕콕"… 이태원 참사 테마주 분석 글에 누리꾼 분노
- "본능적으로 현장에"… 의료인 출신 안철수·신현영 의원, 새벽 이태원 방문
- 배우 이지한 이태원 참사로 잃은 소속사, "늘 다정하고 따뜻한 친구"
- 이태원 참사에 세계 각국 정상 '깊은 애도' 잇따라
- 尹 대통령 부부, 서울광장 합동분향소 조문
- [이태원 안전실종 긴급진단] 검경수사로 책임규명 가능할까
- 13만명 몰린 이태원에 경찰은 달랑 137명, 소방 12명
- 김원웅 전 광복회장 암 투병 중 78세로 별세
- 박희영 용산구청장 "큰 희생에 마음의 책임"… 사퇴론 일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