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당국, 총 5구 시신 수습… 보고된 탑승인원과 달라
여야 "희생자들에 명복… 사고원인 등 진상 규명 필요"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양양 명주사 인근 야산에 추락한 헬기 사고 관련 소방당국 관계자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양양 명주사 인근 야산에 추락한 헬기 사고 관련 소방당국 관계자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강원도 양양 현북면 어성전리 명주사 인근 야산에 27일 오전 10시50분경 추락한 헬기가 노후 기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헬기는 오전 9시30분 산불 계도 비행을 위해 속초 계류장을 이륙했고, 1시간가량 지난 뒤 명주사 인근 야산에 추락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헬기는 사고 직후 동체에서 발생한 화재로 화염에 휩싸였다. 현장에서는 기존 탑승 신고된 기장 A(71), 정비사 B(54), 다른 정비사 C(20대)씨 외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2명의 여성 등 총 5구의 시신이 수습됐다.

사고로 희생된 인원은 인명피해 당시 2명으로 추정됐으나, 비행계획 신고 시 3명에 대한 정보가 빠지면서 늘어났다. 현재 수습된 시신들은 양양 장례식장으로 옮겨진 상태다.

여성들의 시신은 손상이 심해 정확한 신원 파악에는 시간이 다소 걸린 전망이다. 정확한 사고 원인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헬기의 경우 47년된 기종으로 노후화된 점이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속초·고성·양양이 공동으로 임차해 운용 중이었으며, 속초시가 가을철 산불 예방 및 진화 활동을 위해 올해 9월부터 다음 달 30일까지 임차했다. 

한편 여야는 사고 직후 잇따라 논평을 내고 사고수습과 유가족 지원 방안, 신속한 원인 규명 등을 촉구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희생자와 유가족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며 “관계 당국은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원인 규명에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이수진 민주당 원내대변인도 “국민을 위해 소명을 다하다 운명을 달리하신 희생자들의 영면을 기원한다”며 “사고 원인은 물론 당초 탑승자와 실제 탑승자가 다른 이유도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산불진화 인력 안전을 위한 조치에 허점은 없었는지도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정부는 사고수습, 특히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예우를 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