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코로나 방역 정책에 중국 민심 폭발

지난 26일 중국 상하이의 우루무치중루에서 코로나19 방역 정책과 최근 신장 우루무치에서 벌어진 화재 참사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 26일 중국 상하이의 우루무치중루에서 코로나19 방역 정책과 최근 신장 우루무치에서 벌어진 화재 참사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3년째 이어지는 중국 정부의 고강도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항의하는 시위가 본격화되고 있다. 

27일(현지시각) 로이터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상하이와 베이징, 우한, 청두, 란저우 등에서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다. 

특히 상하이에서는 시위대가 “시진핑! 물러가라! 중국 공산당! 물러가라” 등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사퇴를 구호로 외치는 등 시위가 격렬해지고 있다.

이번 시위는 지난 24일 중국 신장 우루무치의 한 고층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로 최소 10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하는 참사가 일어나면서 촉발됐다.

코로나19 방역 강화를 위해 아파트를 봉쇄했던 설치물들이 신속한 진화를 방해했다는 주장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급속히 퍼지면서 비난 여론이 극에 달했다.

중국 전역의 대학 캠퍼스에서도 시위가 일어났다. 시 주석의 모교인 베이징 칭화대와 북경대, 동부 장쑤성 난징교통대 등에 학생들이 모여 코로나 정책에 항의했다. SNS 등에 공유된 영상에는 학생들이 백지를 들고 “표현의 자유”를 외쳤다.

로이터는 “우루무치 화재 참사가 대중의 분노를 위한 피뢰침이 됐다”며 “해당 화재는 시 주석이 10년 전 집권 한 이래 전례가 없던 시민 불복종에 기름을 끼얹었다. 시 주석이 3연임을 확정한 지 한 달 만에 불만이 끓어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