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서울 집값, 매주 '역대급' 하락률 경신
전세시장도 '꽁꽁'… 수요자들 관망세 지속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잇따른 금리인상과 대출규제 강화 등이 맞물리며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집값이 브레이크 없이 추락하고 있다.
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59% 하락하며 지난주(-0.56%)보다 내림폭이 확대됐다. 전국 집값은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10년7개월 만에 기록한 최대 하락세를 이어갔다.
서울(-0.59%)은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확대되며 28주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다. 역대 최대 낙폭을 경신한 지난주(-0.56%) 기록을 일주일 만에 갈아치웠다. 상대적으로 집값이 견조했던 서초구(-0.26%)와 강남구(-0.39%)도 집값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권역별로 보면 지난해 2030세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인기 지역으로 꼽혔던 노도강의 약세가 두드려졌다. 도봉구(-0.88%)는 창동·쌍문동 위주로, 강북구(-0.75%)은 미아동 대단지 위주로 집값이 크게 떨어졌다. 노원구(-0.85%)는 중계·월계·하계동 구축 위주로 하락세가 짙어졌다.
강동구(-0.60%)는 고덕‧암사‧상일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금천구(-0.64%)는 시흥‧독산동 주요 단지 위주로, 송파구(-0.67%)는 잠실‧문정‧가락·오금동 위주로 하락했다. 영등포구(-0.58%)는 문래·양평·영등포동 구축 위주로 집값이 하락하며 서울 전체 하락세에 기여했다.
인천(-0.94%)에서는 남동구(-1.11%)가 논현·구월·서창동 대단지 위주로 집값이 떨어지며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부평구(-1.04%)는 산곡·삼산·부개동 위주로, 서구(-1.03%)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이 큰 가정·신현·마전·당하동을 중심으로 집값이 하락했다. 연수구(-1.01%)는 송도·동춘·연수동 밀집지역 위주로 하락폭이 커졌다.
경기(-0.78%)도 지난주(-0.71%)보다 하락 폭이 확대됐다. 경기에서는 포일·내손동 주요단지 위주로 하락한 의왕시(-1.28%)의 하락률이 눈에 띄었다. 과천시(-1.27%)는 중앙·원문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군포시(-1.25%)는 산본·금정동 위주로 내림세가 지속됐다.
전세시장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0.73%)은 지난주(-0.79%)보다 내림폭이 커졌다. 서울(-0.89%→-0.96%)도 하락세가 짙어졌다. 인천(-1.05→-1.11%)과 경기(-0.96%→-1.00%)도 지난주에 이어 전세시장 빙하기가 지속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주택가격 추가하락 우려와 금리인상에 대한 부담으로 매수문의가 한산한 상황이 지속 됐다”며 “간헐적인 일부 급매성 거래가 기존 매물가격 하향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전체적으로 집값 하락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 한국-브라질 16강전 열린 스타디움974 해체돼 우루과이로 이전?
- "우유 가격 같이 올리자" 서울우유 대리점 단체, 과징금 '철퇴'
- GTX 반대 괴씸죄?… 국토부·서울시, '공금 부당사용 의혹' 은마 합동조사
- 재건축시장 활성화 '신호탄'… 안전진단 '대못' 뽑혔다
- 추경호 "화물연대 파업 멈춰라… 불법 행위 엄정 대응할 것"
- [날씨] 추위 '주춤', 건조하고 흐린 날씨 이어져… "화재 예방 필수"
- '공정거래법 위반' 김상열 전 호반건설 회장, 1심서 1.5억원 벌금형
- 새마을금고중앙회, 김장나눔 봉사활동 통해 김치 2만2000kg 기부
- NH농협은행, 23년도 상반기 신규직원 480명 채용
- 주택금융공사, 젊은 직원들의 아이디어로 고객서비스 향상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내정자 “고객 신뢰 회복이 최우선 과제”
- 싹수 노란 내년 부동산시장… 둔촌주공·장위자이를 보라
- [내집 마련 캘린더] 주거 장만 꿈 이뤄줄 '희망의 열쇠'
- 집값 폭락 '노도강' 다음달 서울서 가장 먼저 규제지역 해제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