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촌주공, 1순위 청약 진행 결과 평균 4.7대 1 경쟁률 기록
장위자이 레디언트, 평균 경쟁률 3..1대 1… 일부 면적 미달
분위기 반전될만한 요소 없어… "내년 침체기 이어질 전망"

올해 분양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둔촌주공과 장위자이가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청약성적을 기록하면서 내년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올해 분양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둔촌주공과 장위자이가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청약성적을 기록하면서 내년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으로 꼽히는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사업)과 올 하반기 최대어로 평가됐던 장위자이 레디언트(장위4구역)가 저조한 청약실적을 기록하면서 내년 분양시장에 빨간불이 켜졌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둔촌주공 1순위 해당지역 청약을 진행한 결과 3695가구 모집에 총 1만7378명이 접수해 평균 4.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0만명이 넘게 참여했다는 관측도 나왔으나 시장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했다.

당초 청약 접수 첫날인 지난 6일 열린 1순위 해당지역(서울시 2년 이상 거주자) 청약에서 마감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대부분 주택형이 예비입주자 500% 요건(청약 경쟁률 5대1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다.

지난 7일 1순위 기타지역(서울시 2년 미만·수도권 거주자) 청약에서는 3731명이 추가신청하는 데 그쳤다. 전체 주택형 16건 중 절반이 2순위 청약까지 넘어갔다.

아울러 장위자이 레디언트도 지난 7일 1순위 당해지역 청약에서 956가구 모집에 2990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3.1대 1을 기록했다. 16개 타입 중 4개 타입만 접수를 마감했다. 소형 평수인 49㎡E에서는 11가구 모집에 10건 신청으로 미달됐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전용면적 97㎡에서 나왔다. 15가구 모집에 492명이 몰리며 32.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84㎡E도 1가구 모집에 20명이 신청해 2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하지만 다른 타입을 보면 대부분 한 자릿수 경쟁률을 나타냈다.

장위자이레디언트는 일반분양 모든 평형에서 분양가가 12억원 미만으로 책정돼 중도금 대출도 가능하다. 중도금 전액 이자 후불제 혜택이라는 파격적인 조건도 제시했으나 수요자들은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단지는 2순위까지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라 예비입주자를 주택 수의 500%까지 선정해야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분양시장 분위기를 가늠할 ‘바로미터’로 여겨졌던 둔촌주공과 장위자이가 흥행에 실패하면서 내년에도 부동산시장 침체기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의 잇따른 금리인상과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수요자들의 부담이 가중됐고 자금을 마련하기 더욱 어려워졌다.

내년에도 부동산시장 분위기가 반전될만한 요소가 없어 수요자들의 짙은 관망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분양시장 옥석가리기가 뚜렸해질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만 확산됐던 미분양 공포가 수도권까지 번져 부동산시장의 전망은 더욱 어두워질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