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희망퇴직 대상·조건 공지… 1967년 24개월치 임금
NH농협은행 다음주 최종 퇴직 공고, 만 40세도 대상에 포함
개선된 퇴직 조건으로 희망퇴직 '증가'…점포·인력 축소 영향

은행권에서 희망퇴직자들이 역대급 조건을 받으며 자리를 떠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은행권에서 희망퇴직자들이 역대급 조건을 받으며 자리를 떠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고금리시대로 역대 최고 실적을 내는 은행들이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 시작한 가운데 파격적인 기회를 놓치지 않고 퇴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전날 희망퇴직 대상과 조건 등을 공지했다. 관리자와 책임자, 행원급에서 각 1974년, 1977년, 1980년 이전 출생자가 신청할 수 있다. 특별퇴직금은 1967년생이 24개월 치, 나머지는 36개월 치 월평균 임금으로 책정됐다.

이 밖에 자녀 1인당 최대 2800만원의 학자금, 최대 3300만원의 재취업 지원금, 건강검진권, 300만원 상당의 여행상품권 등도 지원된다. 우리은행은 오는 19일부터 27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내년 1월 말까지 퇴직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18일부터 희망퇴직 접수를 시작해 다음 주 최종 퇴직자 공지를 앞뒀다. 10년 이상 근무한 일반 직원 중에서는 만 40세(1982년생) 직원도 희망퇴직 대상에 포함됐다. 희망퇴직금으로는 퇴직 당시 월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20∼39개월 치가 지급된다. 최종 퇴직자 규모는 500여명으로 지난해 (427명)보다 소폭 늘어날 전망이다.

NH농협은행에서 곧 500명의 희망퇴직자가 확정되면 올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만 2400명이 희망퇴직 방식으로 직장을 떠나게 된다.  KB국민은행은 674명, 신한은행은 250여명이 올 1월 떠났고 하나은행에서도 상반기 478명, 하반기 43명 등 521명이 희망퇴직했다. 우리은행도 연초 451명이 희망퇴직했다.

수협은행도 최대 37개월치 급여를 조건으로 15년 이상 근무자로부터 지난달 18∼22일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KB국민·신한·하나은행은 아직 희망퇴직 공고가 나지 않았으나 대부분 연내 신청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전체 희망퇴직자도 최소 30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희망퇴직자가 많아 진 이유는 늘어난 이익으로 개선된 퇴직 조건이 거론된다. ‘인생 2막’ 설계를 서두르고 비대면 금융 전환에 따른 점포·인력 축소 등이 겹쳐 은행권 희망퇴직 신청자가 전반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