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정책 전환 뒤 PCR 이어 통계발표도 멈춰
연일 폭증하는 감염·사망자 수 감추기 해석도

중국 질병당국이 코로나 일일 통계 발표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통계 조작 등의 불신을 받던 중국이 연일 폭증하는 감염자 수를 의도적으로 감추기 위해 통계발표를 중단한 것이란 의혹도 제기됐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중국 질병당국이 코로나 일일 통계 발표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통계 조작 등의 불신을 받던 중국이 연일 폭증하는 감염자 수를 의도적으로 감추기 위해 통계발표를 중단한 것이란 의혹도 제기됐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위드코로나에 나선 중국 당국이 25일 매일 발표하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숫자를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부실 집계 논란이 커지자 이를 의식해 확진자 발표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AP통신과 미 경제지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에선 현재 중국 내 코로나 신규 감염증 수가 급증하는 상황이지만,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일일 신규 감염자 수 통계 발표를 중단했다.

위건위은 중국 국무원 산하 기관으로 국내의 보건복지부와 같은 질병통제를 예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 중국에선 지난달부터 코로나19 봉쇄에 따른 반정부 시위가 확산했고, 당국은 방역조치를 완화 카드를 꺼냈다.

이어 중국 정부는 지난 7일부터는 정기적으로 하던 전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중단한 데 이어 확진자 통계 발표도 전면적으로 멈췄다.

외신을 비롯한 중국 안팎에서는 이를 당국이 방역완화 뒤 폭증하는 확진자 수를 의도적으로 숨기기 위한 결정으로 보고 있다. 

위건위는 지난 18일 발표에서 전국에서 집계된 코로나19 사망자가 2명, 감염자 1918명이라 밝힌 바 있지만, 의심에 눈초리를 받고 있다. 실제 중국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폐렴과 호흡부전으로 사망한 경우에만 코로나 사망자로 분류하는 판정 기준을 적용했었다. 

급기야 중국 정부는 코로나를 단순 감기 취급하기 시작했다. 경미한 코로나19 감염자들의 경우 일터에 복귀하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그간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던 모습은 사라진 지 오래다. 

이에 중국은 정책 전환 뒤 감염자 폭증과 급격히 늘어난 사망자 수 등을 가리려 했지만, SNS상에는 이미 중국 현지 장례식장에 코로나 사망자로 인해 포화상태가 됐다는 게시물이 다수 올라왔다.

블룸버그와 로이터통신 등은 이와 관련 영국의 보건의료 데이터업체인 에어피니티(Airfinity) 자료를 인용해 중국에서 매일 코로나19로 5000명 이상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감염 증상자가 연일 폭증하는 가운데 이들이 일터에 복귀할 지자체와 일상 업무, 공장의 생산활동, 병원의 진료가 마비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테슬라의 해외수출 허브 역할을 하던 상하이공장도 영향을 받아 내년 1월1일까지 일부 공정가동을 멈췄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