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37주 연속 내림세… '노도강'마저 하락폭 확대
서울 전세 가격 소폭 회복… 경기·인천 전세 빙하기 지속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의 규제완화로 집값 하락폭이 둔화된지 6주 만에 다시 아파트값 내림 폭이 커졌다.
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49% 하락하며 지난주(-0.38%)보다 내림폭이 확대됐다. 전국 집값은 10년8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은 이후 6주 연속 하락폭이 둔화됐으나 이번주 다시 확대됐다.
서울(-0.31%)은 지난주(-0.25%)보다 하락폭이 커지며 37주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다. 대부분 지역에서 낙폭이 확대된 가운데 등촌‧가양‧‧마곡‧염창동 위주로 하락한 강서구(-0.58%)가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금천구(-0.57%)는 시흥‧독산 주요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도봉구(-0.25%→-0.34%)와 노원구(-0.19%→-0.23%)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강북구(-0.20%→-0.36%)도 낙폭이 커졌다. 집값이 견조했던 강남(-0.18%→-0.19%)과 서초(-0.15%→-0.23%)도 마찬가지다.
강동구(-0.48%)는 강일‧명일‧상일동 주요단지를 중심으로, 서대문구(-0.46%)는 북아현‧현저‧홍제‧홍은동 주요 단지 위주로 집값이 내리며 서울 전체 하락세에 기여했다. 광진구(-0.36%)는 자양‧광장‧구의동 위주로 집값이 떨어졌다.
인천(-0.51%)에서는 부평구(-0.69%)가 부개‧산곡‧갈산동 구축 대단지 위주로 집값이 미끄러지며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중구(-0.66%)는 영종도내 중산‧운서‧운남동을 중심으로, 서구(-0.55%)는 신규물량 영향이 큰 마전‧원당‧왕길‧청라‧석남동 위주로 조정을 받았다.
경기(-0.75%)도 내림폭이 확대됐다. 경기에서는 동탄신도시‧반월‧병점동 주요단지 위주로 실거래 가격이 떨어지는 화성시(-1.51%)의 하락률이 눈에 띄었다. 성남 분당구(-1.46%)는 구미‧정자‧야탑동 위주로, 수원 영통구(-1.40%)는 광교신도시와 영통‧매탄동 위주로 매매가격이 미끄럼을 탔다.
전세시장도 비슷한 분위기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0.76%)은 지난주(-0.71%)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0.96%→-0.95%)은 내림폭이 둔화됐다. 반면 인천(-0.83→-0.87%)과 경기(-1.06→-1.16%)는 내림세가 짙어지며 전세시장 빙하기는 여전히 지속되는 모습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시중금리 완화 기조로 매수문의와 거래량이 소폭 증가했으나 매도인과 매수인간 희망가격 격차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는 관망세가 유지되는 중”이라며 “적극적인 거래활동으로 이어지지 않고 급매 위주의 하향거래가 진행되는 등 내림세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 헌재, 행안장관 탄핵 심리 착수… 6개월 안에 결론 낸다
- 홍준표, 나경원 지지에 목맨 김기현 직격… "골로 가도 소신 있어야"
- 금리 무섭다… 지난해 아파트 매입 비중 '역대 최저'
- 문재인, 조국 저서 추천하며 "저자의 처지가 어떻든…"
- [위기의 건설업 ③] '희망의 불씨' 해외수주·규제완화·
- SK이노 노사, 올해 임단협 '초고속' 타결… 4조2교대 근무제 변경 합의
- 1기신도시 지차제장 "특별법 환영…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
- DL건설, 부서간 화합 위한 '크로스 미팅' 진행
- [내집 마련 캘린더] 초콜릿만큼 달콤한 '청약 선물세트'
- 영종도 출퇴근 공무원, 지원 통행료 모두 토해낼 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