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일 사장 "스마트 과제 추진이 우리를 퍼스트 무버로 만들 것"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현대제철은 지난 7일 연수원에서 열린 인공지능(AI)·빅데이터(BIG DATA) 페스티벌 오프라인 포럼에서 최우수 과제 4건에 대해 발표했다. 회사는 이 자리에서 사업부별로 진행한 스마트 과제의 추진 성과를 공유하고 포상했다.
현대제철은 오프라인 포럼에 앞서 지난 2월15일부터 21일까지 7일간의 일정으로 전체 임직원이 참여 가능한 온라인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오프라인 포럼에서는 이준호 고려대학교 교수의 'DX(Digital Transformation) 추진을 위한 문화 및 인프라'를 주제로 한 특별강연도 마련됐다.
회사는 이번 페스티벌을 통해 최우수 4건, 우수 10건, 장려 20건의 과제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최우수 과제 4건 중 ‘제강 공정 스케줄링 시스템 개발’ 과제는 공정 편성 최적화를 통해 제품 공정 시간 단축을 목표로 진행된 과제다.
제강 조업의 제약조건 및 다양한 조건으로 구성한 모델링을 시스템이 적용됐고, 시스템을 현장에 시범 적용해 본 결과 일부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현대제철은 조업 적용 테스트를 거쳐 해당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스마트 과제 중에 냉연 FH(Full Hard) 재질 예측을 통한 대체 지정 기준 최적화 모델을 개발한 사례도 눈길을 끌었다. 기존 냉연 FH 보류재 처리를 위해서는 대체 규격 지정이 필요했고, 시스템 관련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으로 처리 기한을 맞추기 어려웠다.
다만 제강에서부터 냉연 공정까지의 생산, 제품 등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결과 용도에 맞는 재질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었다. 회사는 이를 토대로 보류재의 대체 규격 지정 가이던스를 제공하는 등 모델을 개발해 처리 기한을 맞추고 제품의 품질 편차 발생 리스크를 줄였다.
이 외 현대제철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통해 단순하고 반복적인 사무 업무를 자동화해 업무 효율성을 향상했다. 회사는 포럼에서 대표사례들과 함께 앞으로 RPA 활용 전략 등을 소개하는 시간도 가졌다.
당장 정비분야의 경우도 딥러닝 기반 AI모델을 개발·활용하는 등 업무에 AI와 빅데이터를 접목해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게 사측에 설명이다. 현대제철은 AI와 빅데이터 활용 관련 직원 역량 강화와 동기 부여를 위한 활동들도 지속 이어나갈 계획이다.
안동일 사장은 “스마트팩토리는 우리가 직접 구축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현 업무 프로세스를 체계적이고 스마트한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로 바꿔가야 한다”며 “진행 중인 스마트 과제 활동들로 업무방식을 바꾸고 이런 변화가 우리를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 AC밀란과 UCL 2차전 앞둔 손흥민 "모든 것 바쳐야"… 선발출전 여부는?
- 코스피, 파월 '빅스텝' 예고에 1.28% 하락… 환율은 22원 올라
- 원희룡 "원청업체 정신차려야… 가짜 노조 실태 파악할 것"
- 롯데, 부산시·유치위와 '2030 세계박람회' 유치 위해 맞손
- 현대제철 통합보고서, 美 LACP 주관 어워드서 2년 연속 '금상' 영예
- 현대제철, 'H CORE Solution' 개발 과제 최종선정… 산학연 공동연구 추진
- 현대제철, 온라인상거래 플랫폼 'HCORE STORE' 론칭
- 에스오에스랩, 차량용 램프 기업 에스엘과 라이다 개발 협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