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파워 세계 최고...금투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제1차 금융투자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세미나 개최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판도변화를 기회로 삼아 국내 금융투자회사들이 무한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14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금융투자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세미나에 참석해 "새로운 기술과 다양한 플레이어의 출현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며 "새로운 운동장에서 새로운 경쟁자들과 무한경쟁을 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 경쟁에서는 모두가 비슷한 출발선에 서 있고, 우리나라도 결코 뒤처져 있지 않다"며 "우리만의 강점과 기회 요인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우리의 강점인 소프트 파워와 ICT 등 글로벌 선도분야를 전략적으로 융합해 나간다면, 글로벌 시장에서도 우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이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업계 스스로가 글로벌 중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자로서 우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의 비전과 역할을 재정립하는 담대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며 "우리 금융투자업이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에서 사업 기회와 수익을 창출하는 우리 경제의 또 다른 성장엔진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세미나는 전일 열린 금융산업 글로벌화 태스크포스(TF)의 후속조치로 마련됐다.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대표가 직접 패널 토론에 참여해 업계의 미래 비전과 고민을 공유했다.
이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기조발표를 한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국내 자본시장의 외형적 성장에도 예금 중심의 가계 금융자산 구조, 글로벌 경쟁력 부족, 낡은 자본시장 인프라와 규제 등 한계 요인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0년 내 아시아 상위 3위권 수준의 금융투자회사 배출 ▲연금·자산관리 활성화를 통한 국민 노후준비 지원 ▲공모펀드 경쟁력 강화 및 사모펀드 성장 지원 ▲대체거래소(ATS) 인가를 비롯한 자본시장의 질적 향상 ▲투자자 보호 강화 등 금융투자업 추진 목표 5개를 제시했다.
한편, 금융위는 향후 세미나에서 기존 해외진출 성공사례 등을 토대로 구체적인 추진 과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내달에는 글로벌 영역 확대 방안과 뉴노멀 대응 전략, 5월과 6월에는 각각 투자수익 제고 방안과 금융투자회사의 내부역량 강화 등을 다룰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