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명 중 8명이 지역감염 사례

인천공항 내 엠폭스(옛 원숭이 두창) 감염 주의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인천공항 내 엠폭스(옛 원숭이 두창) 감염 주의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질병관리청은 지난 14일 오전 10번째 엠폭스(옛 원숭이두창) 발생 이후 현재까지 국내 3명의 엠폭스 확진 환자가 추가로 발생했다고 17일 밝혔다.

11번째 환자는 서울에 거주 중인 내국인이다. 인후통과 피부병변으로 의료기관에 내원 후 의료진이 엠폭스 감염을 의심해 14일 관할 보건소로 신고했다. 지난 14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12번째 환자는 경남에 거주하는 내국인이다. 피부병변 및 통증으로 14일 질병관리청 콜센터에 검사를 문의했다. 잠복기 내 위험 노출력이 있어 의사환자로 분류됐다가 검사 후 15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13번째 환자도 경남에 거주하는 내국인으로 12번째 환자의 역학조사 중 피부병변 등 의심증상이 있는 밀접접촉자를 확인해 즉각 검사를 진행했고 지난 15일 양성으로 확인됐다.

이들 모두 최초 증상 발현 3주 이내에 해외 여행력이 없고 국내 위험 노출력이 확인돼 국내 감염으로 추정된다. 질병청은 위험요인 및 감염경로 등에 대한 상세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달 7일 이후 발생한 환자 총 8명 중 5명은 의료진 판단하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했다. 현재 관리 중인 접촉자 중 의심 증상 보고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질병청은 엠폭스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의료인을 대상으로 진단 안내서를 배포했다. 환자 방문 가능성이 높은 감염내과, 피부과, 비뇨의학과, 항문외과 등에 의심환자가 생기면 신고해달라고 안내했다. 엠폭스 고위험군이 이용하는 시설을 찾아 감염 예방수칙 등도 알렸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의심 환자와의 밀접 접촉 등 위험요인과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상담하고 모르는 사람들과의 밀접 접촉(피부·성접촉)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