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발 사태' 언론사 제보로 알아"

11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좌측 두번째)이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11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좌측 두번째)이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1일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폭락 사태'의 배경으로 지목된 증권사 차액결제거래(CFD) 계좌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CFD란 실제 투자상품을 보유하지 않고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을 이용한 차익을 목적으로 매매한 뒤 차액을 정산하는 장외 파생상품 거래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CFD 계좌수가 전체 3400개인데, 이에 대해서 전수조사를 할 생각"이라며 "기획·테마 조사를 해서 유사한 패턴이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또한, 김 위원장은 “CFD 계좌 계약을 두고 증권사들이 불완전 판매를 했을 가능성과 함께 전문투자자 확인·승인 과정에서 나온 의문점이 있어 금융감독원과 협의해 이를 함께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로 지목된 개인 전문투자자의 차액결제거래(CFD)와 관련해 전반적인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위원장은 "CFD 제도와 관련해 개인 전문 투자자가 95%를 차지하고 있다는 걸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보고 있다"며 "신청받고 승인받는 과정, 전문 투자자 요건에 이르기까지 전부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SG증권발 사태에 대한 금융당국 대응이 느렸다'는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과 관련해 "이 사건을 언론에서 간접 제보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보를 받고 2주도 안 돼 관련자들을 출국금지 시켰고 영장을 청구하고 바로 압수수색까지 한 이런 사례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금융위에 권한이 너무 집중돼 대응이 늦었다는 이야기에 전혀 공감할 수 없다"고 늑장대응 비판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