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 국회 정무위 출석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사태로 드러난 대규모 주가조작 의혹 사건을 언론사 제보로 처음 인지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SG증권발 매물 폭탄에 연일 급락세를 탔던 8개 종목과 관련해 시장에서 ‘작전설’이 이미 흘러나왔음에도 금융당국이 너무 뒤늦게 인지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이 ‘SG증권발 사태에 대한 금융당국 대응이 느렸다’고 지적하자 “이 사건을 언론을 통해 간접 제보 받았다”고 답했다.
그는 “언론 제보를 받고 2주도 안 돼서 관련자들을 출국금지하고 영장을 청구하고 바로 압수수색까지 했다. 이런 사례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안 인지 후 대응은 신속하게 했다는 설명이었으나 위원들의 질타는 이어졌다. 금융당국 쪽에서 조사에 들어갔다는 정보를 주가조작 세력에 유출한 거 아니냐는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는 강하게 부인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에서 정보가 유출됐다면 그건 범죄”라며 “저는 정부의 신뢰성과 정직성을 믿는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양정숙 무소속 의원은 금융위가 제보를 받은 이후 연루된 종목의 대주주 등이 매도를 통해 대량 차익을 거둔 것에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양 의원은 “금융위가 제보를 받았다고 한 뒤부터 폭락 사태가 벌어지기 전까지 연루 종목의 대주주 회장님들은 귀신도 놀랄만한 매도 타이밍으로 수익을 실현했다”며 “정보가 주가조작 세력에게도 들어갔거나 금융당국 조사 계획 정보가 유출되지 않고서는 어떻게 이런 우연의 일치가 있을 수 있냐”고 물었다.
김 위원장은 “그런 생각이 들 수 있다”며 “수사당국에서 당연히 이런 포인트도 잡아 미공개 정보 이용이나 내부자 거래 측면도 살펴볼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김주현 금융위원장 "CFD 계좌 3400개 전수조사 실시"
- "손실규모 1350억"… 주가폭락 피해 투자자 66명 라덕연 대표 고소
- 검찰, SG증권발 주가폭락 사태 배후 의혹 라덕연 체포
- 키움·교보증권, CFD 계좌 개설 일시 중단
- 폭락 주식들 또 투기판… 이번엔 개미들이 집중 매입
- 임창정, 주가조작단 골프장 계약도 동행?… 지속되는 의혹
- 금감원, SG발 주가폭락 CFD 관련 검사 착수… 첫 타겟은 '키움증권'
- 주가조작 의혹 일당들 투자 권유 뿌리친 솔비·노홍철 "이상해서 투자 안했다"
- 직원 58%가 원했던 사임?… 일론 머스크, 트위터 CEO 물러난다
- 금융위 'ESG 공시제도 로드맵' 3분기 중 발표
- 김주현 금융위원장 "비대면 대환대출, 소비자에게 과도한 수수료 전가 안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