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액결제거래 중점으로 개인투자자 규정 준수 등 검사 예정
김익래 회장 '지분 매도' 논란 커져… 폭락 직전 605억원 확보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 창구를 통한 주가폭락 사태의 심각성이 점차 커지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키움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오전 키움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하고 나머지 주요 증권사들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차액결제거래(CFD) 검사를 중점으로 개인 전문 투자자 관련 규정이 지켜졌는지, 내부 임직원이 연루됐는지 등을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CFD는 최근까지 13개 증권사가 판매했다. CFD 잔액(올 2월 기준)은 교보증권(6131억원)이 가장 많았고 키움증권(5181억원)과 메리츠증권(3409억원), 하나증권(3394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키움증권은 오너인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의 지분매도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김 회장은 폭락 사태 직전인 지난딜 20일 시간외매매로 다우데이타 140만주(3.66%)를 주당 4만3245원에 처분해 605억원을 확보했다. 김 회장의 보유 지분은 26.66%에서 23.01% 줄었다. 황현순 키움증권 사장은 김 회장의 매각에 대해 우연의 일치라고 해명했다.
금융당국은 국회 정무위원회에 SG발 폭락 사태와 관련해 이상 거래를 사전 탐지 못 한 점을 인정하면서 모니터링 및 적발 체계를 보완하겠다고 보고했다. 다만 이번 주가 급락과 공매도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8개 종목 중 코스피 5개 종목은 2020년 3월부터 공매도 전면 금지 종목이었기 때문이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CFD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CFD를 하는 개인 전문투자자가 2만5000명에 이르는 등 매년 급증하고 투자자 피해 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잔고 공시 등 투명성 강화를 추진하고 상황을 고려해 개인 전문투자자의 CFD를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할 전망이다.
- '1년간 4명 사망' 세아베스틸 안전불감증 심각, 법 위반 대거 적발
- [부고] 곽준원(삼표그룹 대외협력본부 홍보팀장)씨 부친상
- [날씨] 전국 맑고 포근, 큰 일교차 주의해야… 서울 최저 10도
- 'SG발 폭락사태' 피해자 10여명, 주가조작 세력 검찰에 고소
- 금감원, 고의적 무차입 공매도 첫 적발… 33건 제재 '조치 완료'
- '스페인 올해의 팀 후보' 이강인, 어디까지 성장하나… 차기 행선지는?
- GS건설 아파트 현장서 지하 1·2층 상부 슬래브 '와르르'…원희룡 "아찔하다"
- 임창정, 주가조작단 골프장 계약도 동행?… 지속되는 의혹
- 산업은행, '부산행' 마무리 될까… 아직 두 가지 숙제 남았다
- '돈봉투 의혹' 윤관석·이석민, 압박 못이기고 결국 자진 탈당
- 김익래 전 다우키움 회장, 사퇴에도 자꾸 커지는 주가조작 의혹
- 김주현 "주가조작 의혹, 언론 통해 알아"에 비난 봇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