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반도체기업 대상 첫 사이버보안 심사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미·중 반도체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사이버 규제 당국이 미국 최대 반도체기업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자국의 사이버 보안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며 제품 구매 중단을 촉구했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안보심사판공실(CAC)은 성명을 내고 “관련 법률에 따라 마이크론의 중국 내 판매 제품에 대한 사이버 안보 심사를 실시했다”며 “검사결과, 마이크론의 부품이 중국의 중요한 정보 인프라 공급망에 상당한 보안 위험을 초래하고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보안 위험을 갖고 있었다”고 밝혔다.
CAC는 “마이크론 제품에 대한 조사는 국가 안보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였다”며 “규정에 따라 중국의 주요 정보 인프라 운영자는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중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마이크론의 어떤 제품이 위험대상인지, 중국 안보에 어떤 문제를 일으켰는지 등은 설명하지 않았다.
마이크론은 성명을 내고 “이번 심사 결과를 검토 중”이라며 “중국 당국과 계속해서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중국은 미국, 대만에 이어 마이크론의 세 번째로 큰 시장이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로 알려졌다.
이번 발표는 미·중간 반도체 관련 기술 분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 중국이 해외 반도체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심사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데스크칼럼] 차이나 쇼크, 대한민국의 생존을 묻는다
- [SWIF 2023] 미중 갈등 속 돌파구 모색… "리스크 관리로 기회 찾아야"
- [SWIF 2023]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위원 "미중경쟁 속 빠른 대응책 필요"
- [SWIF 2023] 정덕구 니어재단 이사장 "자강론에 입각, 중국과 공존해야"
- [SWIF 2023] 현형식 대표 "고도성장한 중국, 세계질서 판 다시 짜려 해"
- [SWIF 2023] 19일 개막, 위기의 '차이나 쇼크'… "생존전략 필요하다"
- [메타센서] 슬금슬금 오른 삼성전자 7만원 육박… 반도체주 부활 오나?
- [메타센서] 중국 마이크론 금수 현실화… K반도체 득실은?
이재형 기자
ljh@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