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더 프라이빗' 행사 진행
등급 기준 높이고 1, 2부 나눠 입장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롯데백화점이 우수고객(MVG) 초청행사를 열어 VIP 잡기에 나섰다.
롯데백화점은 휴무일인 지난 22일 본점, 잠실점, 부산본점, 동탄점, 인천점에서 연간 특정 구매액을 달성한 우수고객 초청행사를 열었다. 롯데백화점은 매년 MVG를 대상으로 ‘더 프라이빗’ 행사를 열고 있다.
이날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눠 진행됐다. 오전 10시30분에 시작한 1부에는 ‘에비뉴엘 에메랄드’와 ‘에비뉴엘 블랙’ 고객, 오후 3시30분부터 7시30분까지 진행된 2부 행사에는 ‘에비뉴엘 퍼플’ 고객들이 입장했다.
롯데백화점은 올해 기존 MVG라는 이름 대신 ‘에비뉴엘’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등급을 나누는 연간 매출 기준으로 ▲에비뉴엘 에메랄드 1억원 이상 ▲에비뉴엘 퍼플 4000만원·6000만원 이상 ▲에비뉴엘 오렌지 1800만원 이상 ▲에비뉴엘 그린 400만·800만원 이상으로 나뉘며 소비액에 따라 VIP 등급이 나뉜다.
에비뉴엘 블랙의 선정 기준금액은 비공개이나 상위 매출 1%의 고객에게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 프라이빗 행사가 우수고객 사이에서 인기인 이유는 명품 브랜드에서 행사날을 기념해 각종 할인 행사를 열기 때문이다. 여기에 금액대별 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더하면 명품을 사실상 반값에 구매할 수 있다.
모든 VIP 등급을 초청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 더 프라이빗은 에비뉴엘 퍼플 이상의 고객만 초청했음에도 입장에만 10분 정도 걸릴 정도로 손님이 몰렸다.
네이버 명품 관련 카페에는 더 프라이빗 행사 후기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행사에 다녀왔다고 밝힌 A씨는 “지난해보다 올해가 훨씬 좋았다”며 “등급별로 나눠 입장해 여유 있게 구경하고 쇼핑하고 왔다”고 말했다.
한편 VIP 제도는 대다수 주요 백화점이 운영 중이다. 현대백화점은 연 500만원 이상의 그린 등급부터 1억2000만원 이상의 쟈스민 블랙까지 총 6개 등급의 VIP 제도를 운영한다.
신세계백화점은 연간 구매금액 400만원 이상의 레드부터 최상위 999명을 선정한 트리니티까지 6개 VIP 등급을 두고 있다.
- 백화점 3사 1.2조 리뉴얼 경쟁… '명품' 늘리고 프리미엄 강화
- [유통정보통] "선물 저렴하게 준비하세요~" 대규모 할인전 ‘풍성’
- 세계 1위 부자의 초대… 티파니 본점 재개장에 국내 백화점 CEO 총출동
- [유통정보통] "가정의 달 미리 준비하세요~" 유통가, 할인전 '풍성'
- 중국서 악몽 롯데쇼핑, 베트남에 거대쇼핑몰 추진… "랜드마크 될 것"
- "나들이 고객 잡아라" 백화점 3사, 최대 70% 봄맞이 할인행사
- 아르노 루이비통 회장 뜨자 난리… 국내 유통그룹 총수들 '눈도장 찍기' 경쟁
- 롯데, 부산시·유치위와 '2030 세계박람회' 유치 위해 맞손
- 롯데·신세계 실적, 백화점 패션·화장품이 살렸다…자회사는 '씁쓸'
- [메타센서] 중국 마이크론 금수 현실화… K반도체 득실은?
- 산업인력공단 '부실 관리'로 채점 전 국가시험 답안지 파쇄
- 베일 벗은 '신세계 유니버스'… 쿠팡·네이버 멤버십과 차이는?
- 디올 '레이디백' 1000만원 육박… 하반기 명품 줄인상 신호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