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결함 발견돼, 오늘 발사는 최종 '무산'
기립 상태서 점검, 항우연 등 원인 파악 주력
과기부 "다음날 오전 중 발사가능 여부 발표"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오늘(24일) 오후 6시24분 위성 8기를 싣고 발사 대기 중이던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기술적 결함 문제가 발견됐다.
이에 이날 발사는 최종 무산됐으며, 정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등은 긴급 회의를 열었다.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우연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30분께 누리호의 발사 준비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다. 과기부 등은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해 즉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오태석 과기부 1차관은 이와 관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발사제어컴퓨터와 발사대 설비를 제어하는 컴퓨터 간에 통신 이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당장 누리호는 기립된 채로 점검에 들어갈 예정이다.
오 차관은 이후 계획에 대해서 “발사체 자체의 문제는 아니며, 기립상태를 유지한다”며 “오늘 중 항우연 기술팀 등을 중심으로 시스템 원인 분석과 해결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음 날 발사 가능 여부에 대해서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과기부는 원인 파악과 점검 결과에 따라 달려있다고 밝혔다. 오 차관은 "내일 오전 중으로 해결되면 발사가능 여부를 발사관리위원회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현재로서 기술적 문제 결함 해결 여부에 따라 발사 시점 등이 다시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항우연 기술진, 나로호 개발에 참여한 기업들도 시스템 문제 원인 분석에 나선 상태로 문제가 해결된다면 제반 상황을 고려해 최종 발사계획이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번 발사의 경우 연구나 시험 목적을 넘어 실용위성이 처음 실리는 ‘실전 발사’라는 점에서 높은 의미를 갖는다. 앞서 정부는 3차 발사를 앞두고 이날 “발사체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 날”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 LF 헤지스, 유기동물 보호센터에 2000만원 기부
- JW중외제약,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배구단과 스폰서십 체결
- 한전·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 7곳, 1년 만에 부채 70조 넘게 폭증
- 금융위, 내년 5월부터 은행 경기대응완충자본 1% 부과
- [기자수첩] 시트지 떼고 금연광고 붙인다는 정부의 '탁상행정'
- SK온, 투자재원 추가 확충… '1.2조원' 규모 자금조달 성공
- 누리호 발사 여부 오늘 오전 중 결정… 밤샘 점검 이어져
- 누리호 재도전, 오늘 오후 6시24분 발사 예정
- 누리호 3차 발사, 무사히 성공… 목표궤도 도달 뒤 '임무수행'
- 우주강국 도약 첫 발… 누리호 3차 발사로 '뉴 스페이스' 시대 뢀짝
- 누리호 소형위성 2호 카메라의 우월한 성능…바다에 뜬 배까지 선명히 촬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