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는 8일 그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명 확장에 크게 공헌한 최현철 소형 사업총괄(전무)가 디스플레이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지닌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임됐다고 밝혔다.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는 8일 그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명 확장에 크게 공헌한 최현철 소형 사업총괄(전무)가 디스플레이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지닌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임됐다고 밝혔다.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최현철 LG디스플레이 소형 사업총괄(전무)이 세계 최고 권위를 지닌 디스플레이 학회로 평가받는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임됐다. 

8일 LG디스플레이에 따르면 SID는 매년 역대 석학회원의 추천과 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연구업적이 뛰어난 최상위 0.1% 이내의 회원만을 석학회원으로 선정하고 있다. 최 사업총괄은 지난 30여년간 디스플레이산업 분야에 몸담았다. 

그는 신제품 및 기반 기술 개발에 공헌해왔다. 앞서 최 총괄은 유기발광다이오(OLED)의 유기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아 고휘도 및 장수명 등 내구성이 뛰어난 ‘탠덤(Tandem) OLED’ 구조 개발했다. 

유기발광 소자의 주요 요소인 수소 원소를 강력하고 안정된 구조의 중(重)수소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해 OLED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사측은 그가 OLED 제품군을 TV와 스마트폰에서 IT와 자동차 분야로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LG디스플레이의 하이엔드 액정표시장치(LCD) 기술인 광시야각 기술(IPS, In-Plane Switching)을 개발하는 등 단점이었던 시야각을 개선하고, 고성능 TV 및 정보통신(IT)용 LCD 제품 상용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SID는 이번 석학회원 선임 배경에 대해서 “탠덤 구조의 고효율 OLED를 개발하고, TV 및 고성능 IT LCD 상용화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