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재가 된 인사 7일 만에 철회
내부 인력배치 문제 둔 갈등 표면화
국정원장 측근 A씨, 인사 전횡 논란

윤석열 대통령(가운데)이 올해 2월 업무보고를 받기 위해 국가정보원을 찾았다. 윤 대통령이 국정원 원훈석 앞에서 간부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가운데)이 올해 2월 업무보고를 받기 위해 국가정보원을 찾았다. 윤 대통령이 국정원 원훈석 앞에서 간부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가정보원 1급 간부 7명의 보직 인사가 번복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대통령 재가를 거친 인사를 국정원이 번복한 것. 현재 이와 관련해 뒷말이 무성한 가운데 내부적으로 인사 전횡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15일 정치권과 동아일보 등 복수 언론매체 보도에 따르면 국정원은 1급 간부 7명에 대한 보직 인사를 냈다가 일주일 만에 발령을 취소했다. 보직 인사가 이뤄진 지 일주일 만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재가를 받은 1급 국·처장 인사가 전면 취소됐다. 

국정원에서 대통령의 승인이 떨어진 보직 인사를 철회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정치권에선 이번 보직 인사 번복 배경에 대해 내부 특정 인물에 인사 전횡이 문제가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내용이 윤 대통령에게 보고됐으며, 이에 인사 번복으로 이어졌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동아일보는 김규현 국정원장의 측근인 A씨가 무리하게 인사에 관여하고 있다는 투서를 확인한 대통령이 인사를 철회하고 직무대기 발령을 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대통령실은 투서를 통해 인사 번복이 이뤄진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편 국정원 내부에선 보직 임명 취소라는 초유의 사태로 크게 흔들리는 모습이다. 김 원장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지난해 10월에도 한 차례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당시 윤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진 조상준 전 기획조정실장이 국정원장과 인사 갈등설 등으로 임명 4개월 만에 자리에서 물러난 바 있다. 

윤 정부 출범 후에도 국정원은 1급 간부 27명을 전원 퇴직시킨 뒤, 2·3급 간부 100여명을 대기발령 했다. 최근까지도 국정원 내부적으로 인력 배치를 둔 갈등에 어수선한 분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통령실이 직접 진상 파악에 나설지 관심이 집중된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해당 사안에 대해 지난 14일 브리핑을 갖고 “저희가 투서를 받은 적이 없다. 투서를 받아 인사를 하거나 안 하지는 않는다”면서 “정보기관 인사에 관련한 사항은 확인해드리지 않는다”며 말을 아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