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3사, 세계적 강세에도 '무역적자'
수출 줄고 수입 늘어난 게 가장 큰 원인
정부가 과감히 지원해 이차전지 메카로

국내 배터리기업 SK온과 미국 완성차업체 포드가 합작해 미국에 짓고 있는 '블루오벌SK' 공장 전경. 사진=SK온 제공
국내 배터리기업 SK온과 미국 완성차업체 포드가 합작해 미국에 짓고 있는 '블루오벌SK' 공장 전경. 사진=SK온 제공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출하량(GWh) 기준 세계 5위권 내 속해있는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가 전기차·배터리업계 활황에도 5개월째 무역적자를 냈다. 해외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역수입하는 경우가 늘어난 탓이다.

지난 22일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5월 리튬이온 축전지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무역수지가 2억4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5월 누계에선 적자가 7억달러에 달했다. 이차전지 통계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 적자다.

원인을 살펴보면 5월 수출은 5억89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2.6% 줄어든 반면 수입은 8억2900만달러로 112%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이 배터리 수입국으로 통계가 잡힌 것은 전기차 산업구조의 지정학적 영향이 가장 크다. 전기차 3대 시장인 중국·미국·유럽에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해선 현지 생산과 직납품 방법이 유리하다. 해외 공장 생산량을 늘려야 하는 구조다. 

배터리업체 관계자는 “배터리업계는 완성차의 납품 요구 사항이 굉장히 많다. 국내에서 배터리를 생산해 수출하기보다 완성차업체 주문에 따라 해외 현지 공장에서 생산해 즉시 공급해야 수주 계약을 따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급기야 지난해부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규제를 피하고 미국 내 부품·광물 생산으로 미 정부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 현지 공장 신설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미래 핵심 산업인 이차전지의 생산기지의 잇단 해외 유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무역수지 문제뿐만 아니라 국내 일자리 창출, 기술 보안 문제도 걸려있어서 국내에 생산시설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만 이차전지는 전기차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정부의 지원이 부족해 국내에 생산 공장시설을 구축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한국 정부는 전기차산업엔 각종 세액공제와 투자지원을 하지만, 전기차의 전기차 원가의 40~50%를 차지하는 핵심부품인 이차전지 지원은 여기에 못 미친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이차전지업체에도 전기차업체 수준의 보조금과 인센티브를 지원해 한국을 이차전지 첨단기지로 만들어야 한다”며 “그래야 테슬라의 기가팩토리 등의 자이언트급 전기차 생산공장을 국내에 유치할 수 있고 무역수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