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3사, 세계적 강세에도 '무역적자'
수출 줄고 수입 늘어난 게 가장 큰 원인
정부가 과감히 지원해 이차전지 메카로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출하량(GWh) 기준 세계 5위권 내 속해있는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가 전기차·배터리업계 활황에도 5개월째 무역적자를 냈다. 해외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역수입하는 경우가 늘어난 탓이다.
지난 22일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5월 리튬이온 축전지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무역수지가 2억4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5월 누계에선 적자가 7억달러에 달했다. 이차전지 통계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 적자다.
원인을 살펴보면 5월 수출은 5억89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2.6% 줄어든 반면 수입은 8억2900만달러로 112%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이 배터리 수입국으로 통계가 잡힌 것은 전기차 산업구조의 지정학적 영향이 가장 크다. 전기차 3대 시장인 중국·미국·유럽에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해선 현지 생산과 직납품 방법이 유리하다. 해외 공장 생산량을 늘려야 하는 구조다.
배터리업체 관계자는 “배터리업계는 완성차의 납품 요구 사항이 굉장히 많다. 국내에서 배터리를 생산해 수출하기보다 완성차업체 주문에 따라 해외 현지 공장에서 생산해 즉시 공급해야 수주 계약을 따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급기야 지난해부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규제를 피하고 미국 내 부품·광물 생산으로 미 정부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 현지 공장 신설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미래 핵심 산업인 이차전지의 생산기지의 잇단 해외 유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무역수지 문제뿐만 아니라 국내 일자리 창출, 기술 보안 문제도 걸려있어서 국내에 생산시설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만 이차전지는 전기차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정부의 지원이 부족해 국내에 생산 공장시설을 구축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한국 정부는 전기차산업엔 각종 세액공제와 투자지원을 하지만, 전기차의 전기차 원가의 40~50%를 차지하는 핵심부품인 이차전지 지원은 여기에 못 미친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이차전지업체에도 전기차업체 수준의 보조금과 인센티브를 지원해 한국을 이차전지 첨단기지로 만들어야 한다”며 “그래야 테슬라의 기가팩토리 등의 자이언트급 전기차 생산공장을 국내에 유치할 수 있고 무역수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미래 유니콘 기업'과 손잡고 고객가치 혁신
- LG엔솔, 출범 후 첫 회사채 발행 나선다… "생산능혁 확대 등 투자 예정"
- 삼성SDI, '인터배터리 유럽' 참가… 차별화된 기술 선봬
- 1위 LG엔솔 위협하는 CATL… 배터리시장 점유율 '맹추격'
- SK온, 1년새 10조원 폭풍 확보… 투자비 확보 끝?
- 이래서 미국 간다… 미 정부, SK온-포드 합작사에 12조원 대출
- [메타센서] 제값 준 사람만 바보?… 1년 안된 삼성 갤Z4 90만원대로 '뚝'
- [메타센서] '회장은 아니나 총수?' 쿠팡 김범석, 동일인 혼선 여전
- 6월 무역수지 16개월만에 흑자 전환..수출 감소폭 연중 최저
- [메타센서] 과열 우려속 또 급등한 에코프로… 정말 100만원 뚫을까
- LG엔솔, 칠레 SQM와 세계 최대 규모 리튬 구매계약 체결
- 캐나다, LG엔솔·스텔란티스 배터리 합작사에 ‘15조원’ 보조금
- "땡큐, SK온"… 미국에 'SK도로' 생겼다
- 7월 1~20일 수출 15.2% '뚝'… 무역적자 13.6억달러
- 8월 1~10일 수출 15.3% '뚝'… 무역적자 30억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