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BA·드라이브 플러스 가입, 글로벌 규범 맞춰 ESG경영 강화
장덕현 사장 "신뢰 받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기가 글로벌 기준에 맞춘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추진을 위해 ‘책임감 있는 산업연합’(RBA, Responsible Business Alliance) 및 전장 부품 공급업체 협의체인 ‘드라이브 플러스’(Drive+)에 가입했다
12일 삼성전기에 따르면 RBA는 글로벌 공급망의 영향을 받는 기업들이 책임 있는 경영 활동을 위해 구성된 비영리 단체다. 현재 220여개 글로벌 기업들이 회원사로 참여 중이다.
앞서 삼성전기는 2017년부터 'RBA 행동 규범'을 토대로 협력사 행동 등의 자체 평가 평가 기준을 수립했고, 안전·환경·인권 관련 준법경영을 점검해왔다.
이번 RBA 가입을 통해선 노동, 안전보건, 환경, 기업윤리, 경영시스템 등 5개 분야의 글로벌 행동 규범을 경영에 더욱 강력히 적용할 방침이다.
회사는 이에 맞춰 국내외 사업장뿐 아니라 협력사까지 RBA 기준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공급망 전반을 점검하고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또 구성원과 협력사 근로자들에 대한 근무환경도 글로벌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목표다.
국내외 사업장 대상으로 진행되는 RBA 현장심사(RBA VAP Audit, 제3자기관에서 진행)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시에 자동차업계 공급망 내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서도 ESG경영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드라이브 플러스 가입도 자동차산업에서의 글로벌 국제 규범에 맞추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삼성전기는 이와 관련 공급망을 비롯한 ▲원소재 ▲근무환경 ▲탄소중립 ▲순환 벨류체인(Value Chain) 등 5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회사의 이 같은 지속가능경영 활동은 다양한 평가 기관으로부터 성과를 인정받는 모습이다.
실제 국내 ‘DJSI 월드지수’ 14년 연속 편입, 업계 최초 카본트러스트 ‘탄소 발자국’ 인증, 국내 모든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등의 성과를 냈고 ESG 리딩 기업으로 발돋움했다는 평가다.
한편 삼성전기는 창립 50주년을 맞아 임직원 참여형 ESG 활동인 ‘제로웨이브’(ZERO WAVE)를 올해 6월부터 전개 중으로 5가지 실천 분야를 중심으로 탄소, 쓰레기 배출 등의 ‘제로’(0) 만들기 활동을 펼치고 있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 사장은 “세계 전자부품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공급망 관리를 글로벌 기준으로 강화할 것”이라며 “고객과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신뢰받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삼성전기, 창립 50주년 기념 ESG 캠페인 진행
- 삼성전기, 4년 만에 부산서 해외 고객사 대상 'SSC' 개최
- 삼성전자, '지구의 날' 맞아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 실시
- 3년 만에 중국 방문한 이재용… 텐진 공장 찾아 임직원 격려
- 글로벌 인증평가기관 CDP, 삼성전기 '기후변화대응' 노력 성과 인정
- 현대전자칠판, 'OTT 서비스'로 시청경험 확대 나선다
- 지엠한마음재단,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위한 안전교육 실시
- 삼성전기, 제2 MLCC 키운다… 전장용 '파워인덕터' 양산 시작
- 삼성전기, FTSE4Good 13년 연속 편입…ESG 경영 성과 인증
- 삼성전기, 2분기 영업익 2050억원… 전년 대비 43% 줄어
- 삼성전기 신입사원들의 특별한 '첫 돌'… 나눔가치 세우다
- 삼성전기, 'ESG 리딩기업' 발돋움… 전(全)사업장 페기물 매립 제로 최고 등급
- 삼성전기, 차세대 반도체기판 기술력 KPCA Show서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