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5월 서울 내 외지인 매입건수 3385건, 전체 25% 차지
강남구 외지인 거래 119건→213건, 전년 대비 13%포인트↑

서울에서 외지인 아파트 매입 비중이 뚜렷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에서 외지인 아파트 매입 비중이 뚜렷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아파트 가격이 고점 대비 하락하고 거래도 활발해지면서 ‘상급지’ 갈아타기를 선택하는 수요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뚜렷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23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 1∼5월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1만3373건 중 서울 외 다른 지역 거주자가 매입한 건수는 3385건(25%)다. 서울 아파트 4채 중 1채는 서울 외 다른 지역 거주자가 사들인 셈이다.

서울 내 전년 동기 대비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가장 큰 폭 늘어난 곳은 강남구였다. 지난해 1∼5월 거래된 강남구 아파트 1500건 중 외지인 거래는 119건으로 비중이 12%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849건 중 213건(25%)으로 13%포인트 늘었다.

강남구에 이어 외지인 매입비중이 늘어난 곳은 마포구였다. 마포구는 같은 기간 22%(322건 중 72건)에 그쳤으나 올해 35%(603건 중 210건)로 늘었다. 강남3구·용산구 등을 제외한 서울 전역의 규제가 해제되고 금리가 안정되면서 갈아타기 수요가 유입된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와 올해 1∼5월 관할 시군구 내 거주자의 매입 비중을 보면 전국은 50.8%에서 57.3%로 6.4%포인트 늘었다. 지방 광역시는 53.2%에서 57.3%로 비중이 4.2%포인트 늘었고 기타 지방은 53.6%에서 65.5%로 11.9%포인트 커졌다. 반면 서울은 40.3%에서 36.8%로 줄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서울은 외지인 매입이 강남, 마포구 등 상급지 위주로 이어졌다”며 “서울 외 지역에서 관할 지역 내 거주자의 거래 비중이 높아진 점은 실수요 위주의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