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업계 니즈 적극 대응, 자동차용 판매 강화로 손익 개선"
직전 분기 대비 매출·영업익·당기 순익 '동반 상승'… 실적 반등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현대제철이 올해 2분기 계절적 성수기 영향에 따른 관련 제품 판매량 확대 등에 힘입어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현대제철은 26일 실적 발표를 통해 올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조1383억원, 영업이익 4651억원, 당기순이익 2935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3% 43.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도 48.2% 줄었다.
다만 직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액은 11.7% 늘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경우도 각각 39.3%, 34.8% 증가했다. 업계에선 철강 시황이 완전히 회복하지 않는 가운데 선방한 것으로 평가한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완성차의 전동화 트렌드에 맞춰 글로벌 업체들이 요구하는 강종 개발과 부품 승인을 진행해 신규 수주를 확보하는 등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며 “자동차용과 봉형강 제품 판매량 증가로 손익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반기 사업 전략에 대해선 “올해 건설경기 둔화 속 자동차·조선 수요 개선에 맞춰 제품 판매를 강화해 수익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현대제철은 철강업계 최초로 H형강 저탄소제품 인증을 획득하는 등 친환경 건설강제 판매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 탄소중립 체제 전환과 전기로-고로 복합프로세스를 통한 저탄소제품 개발도 계획대로 추진 중에 있다.
당장 2025년까지 기존 전기로에 1500억원을 투자해 기존 강판보다 탄소가 20% 저감된 저탄소강판을 연간 400만톤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대제철은 당진제철소에 있는 전기로, 고로 생산설비를 활용해 현재 자동차 외판재 테스트를 진행 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고품질 강종 생산기술을 확보해 고객사 니즈에 적극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