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업계, 하이브리드 차량 점유율 높아져
전기차의 불편함 상쇄하는 장점이 많아 선호
현대차·기아도 하이브리드 글로벌 판매 호조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모터와 내연기관이 함께 작동되는 시스템으로 전기차의 단점을 보완한 대체제로 인기가 높아졌다. 사진=현대트랜시스 홈페이지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모터와 내연기관이 함께 작동되는 시스템으로 전기차의 단점을 보완한 대체제로 인기가 높아졌다. 사진=현대트랜시스 홈페이지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대형 완성차업체들의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중간과정이라고 생각됐던 하이브리드차는 전기차의 단점을 보완하며 친환경 자동차시장의 대세가 돼 가고 있다.

지난 28일 미국 자동차기업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앞으로 더 많은 하이브리드차를 선보이겠다”고 깜짝 선언했다. 포드는 2026년까지 연 200만대의 전기차 생산을 목표로 가장 적극적으로 전기차 전환을 추진한 업체였다. 팔리 CEO의 말은 포드의 전기차 전환 속도 조절로 해석된다.

하이브리드 차의 ‘재발견’은 막상 전기차를 구매했지만 내연기관차보다 가격이 비싸고 충전도 불편한 반면 하이브리드는 이런 단점이 적다는 배경이 작용했다. 최근 글로벌 전기차 판매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어 전기차의 완전 대중화 전까지 하이브리드 판매가 당분간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에선 빠른 전기차 전환에 따른 부작용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포드의 경우 올 2분기에만 전기차 부문에서 45억달러(약 5조7500억원) 손실을 봤다. 독일의 폭스바겐그룹도 지난달 말 전기차를 생산하는 독일 엠덴 공장 정규직 직원 300여명을 비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생산량도 일부 축소한다고 발표했다. 전기차 수요가 회사 예측보다 30% 안팎 줄어든 데 따른 조치였다.

반면 도요타, 현대차·기아는 하이브리드차를 바탕으로 상반기 좋은 실적을 냈다. 도요타의 경우 하이브리드에 집중하고 전기차 모델을 늦게 출시하면서 전기차에 너무 늦은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왔다. 

하지만 상반기 기준으로 올해까지 4년 연속 글로벌 판매 1위에 올랐을 정도로 아직 도요타는 건재하다. 전기차는 늦은 대신, 품질 좋은 하이브리드 차를 출시해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는 지난주 실적 발표에서 상반기 14조원이 넘는 역대 최고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 실적도 하이브리드차가 견인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를 지난해보다 43% 늘어난 34만6765대를 판매했다. 

현대차·기아의 글로벌 하이브리드카 누적 판매대수는 300만대를 돌파했다. 올해 하이브리드카 생산량을 전년 대비 40% 이상 늘려 수익성을 높이고 이를 토대로 친환경차시장 공략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