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주요 지표 근거, 경기 회복 관측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반도체를 중심으로 부진이 개선되는 등 우리나라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7일 ‘8월 경제동향’을 내고 “서비스업 생산이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한 가운데 제조업 생산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부진이 완화됐다”고 평가하면서 국내 경제가 완연한 회복세에 접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KDI는 지난달 ‘경기 저점을 지나가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그간 경기 부진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던 반도체 지표들이 6월 들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흐름을 이유로 꼽았다.
실제 국내 수출을 이끌었던 반도체는 업황 악화로 생산 증가률이 부진했지만, 올해 ▲4월(-21.6%) ▲5월(-18.7%) ▲6월(-15.9%) 등 점차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반도체 수출물량지수도 전년 동월 대비 기준 4월 1.3% 감소에서 5월에 8.1%로 반등에 성공했고, 6월엔 21.6%까지 증가했다.
재고율과 출하율 상황도 개선되는 모습이다. 특히 제조업 재고율은 5월 122.7%에서 6월 111.4%로 하락하는 등 부진을 벗어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내수에서도 완만한 증가세가 이어졌다.
6월 서비스업 생산이 1년 전보다 3.5% 늘어 전월(1.9%)보다 상승 폭을 확대했고, 소매 판매도 같은 기간 1.4% 늘어 전월(-0.6%) 대비 회복세를 띠었다.
여기에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2로 6월(100.7)에 이어 두 달째 기준치 100을 넘어섰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심리가 낙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KDI는 유가가 상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요인, 기상 여건 악화로 곡물 가격 급등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KDI 관계자는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여전히 부진하고 중국은 부동산시장을 중심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된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원자잿값 상승과 중국 경기회복 지연 등에 따라 글로벌 경기와 관련해선 하방 위험이 높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