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판 구조 사용 민간 아파트 293개, 더 늘어날 가능성↑
점검결과 명단 발표시 타격 불가피… "보강공사 약속해야"

정부가 올 10월  무량판 구조 민간아파트 안전점검 결과를 예고하면서 건설업계가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정부가 올 10월  무량판 구조 민간아파트 안전점검 결과를 예고하면서 건설업계가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가 이번 주부터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민간 아파트를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시작한 가운데 올 10월 결과 발표를 예고하면서 건설업계의 긴장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원희룡 장관 주재로 ‘무량판 민간 아파트 전수조사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주거동과 지하주차장 등에 무량판 구조를 쓴 민간 아파트는 당초 전국 293개 단지로 집계됐으나 조사 대상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안전점검을 담당할 기관은 250여개 안전진단전문기관을 회원사로 보유한 시설안전협회가 풀(pool)을 마련하면 국토부가 선정한다. 국토부는 최근 3년간 건축분야 안전점검 실적이 있고 영업정지 위반 사실이 없는 업체를 선정하기로 했다.

점검 대상인 무량판 민간 아파트의 안전점검에 참여했던 업체는 제외하기로 했다. 선정된 점검 기관은 지방자치단체, 국토안전관리원과 이번 주부터 단지별 점검에 나선다. 국토안전관리원은 현장조사에 참여해 적정한 점검이 이뤄지고 있는지 검토하고 점검 결과 보고서를 검증하기로 했다.

안전진단기관은 먼저 구조계산서와 구조도면이 적정한지 검토한 뒤 지하주차장 기둥 주변 부재의 결함 유무를 육안으로 조사한다. 무량판 구조 기둥 주변 설계를 검토한 뒤 필요한 경우 철근 탐지기를 이용해 철근이 배근된 상태를 확인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다음 달 말까지 안전점검을 마친 뒤 10월 중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전수조사 결과는 무량판 안전대책, 건설 카르텔 혁파 방안과 함께 발표된다. 점검 과정에서 철근 누락이 발견되면 보수·보강법을 정하기 위한 정밀진단에 들어간다.

만약 무량판 민간아파트에서 문제점이 또 발견되고 명단이 나온다면 해당 건설사들은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잇따른 부실시공 사태로 건설사의 ‘안전불감증’이 화두로 떠올랐기 때문에 비판과 비난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건설사들이 이번 국토부 조사에 성실히 임할 것이다. 어떤 곳은 오명을 씻으려고 노력하고 어떤 단지는 부실시공 사실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으려고 할 것”이라며 “명단이 전부 공개되면 이미지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보강공사나 재발방지 약속 등이 중요하게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