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 흡수 합병하는 형태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셀트리온그룹의 주요 계열사인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가 17일 공시를 통해 양사 합병 승인에 관한 이사회 결의를 거쳐 본격적인 합병 절차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셀트리온그룹은 단계별 합병으로 기업 역량과 시너지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첫 단계로 그룹내 바이오 계열사인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합병한다. 이후 셀트리온제약의 사업 강화를 거쳐 통합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의 두 번째 합병을 추진한다.
먼저 진행되는 양사간 합병은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흡수 합병하는 형태로, 셀트리온헬스케어 주주에게 셀트리온의 신주를 발행하는 방식이다.
주당 합병가액은 셀트리온 14만8853원, 셀트리온헬스케어 6만6874원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 보통주식 1주당 셀트리온 보통주식 0.4492620주가 배정된다.
합병 승인에 관한 주주총회는 10월23일,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기간은 10월23일부터 11월13일까지다. 합병 기일은 12월28일로 연말까지 합병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셀트리온그룹은 이번 합병을 기점으로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매출을 12조원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바이오시밀러는 추가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해 2030년까지 총 22개 제품을 확보한다.
신약 파인프라인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 연내 미국에서 신약으로 허가가 예상되는 ‘짐펜트라’뿐 아니라 자체 개발 및 라이센싱을 통해 확보한 신약을 2030년까지 전체 매출의 40%까지 채운다.
셀트리온그룹은 합병 후 매출 및 이익 확대에 따른 주주가치 제고에도 힘쓸 계획이다. ▲합병에 따른 비용 절감 ▲원가경쟁력 확보에 따른 매출 증가 ▲파이프라인 확대와 신약 출시에 따른 매출 및 이익 확대가 기대되는 만큼 주주에게 환원될 수 있는 재원도 늘어날 전망이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이번 합병은 글로벌 경제상황과 산업 여건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로, 셀트리온그룹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면서 사업 운영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셀트리온그룹이 가진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글로벌 제약바이오시장을 선도하는 종합생명공학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삼바에피스·셀트리온 복제약으로 미국 휴미라시장 도전장
- 셀트리온, 2분기 매출·영업이익 모두 10%이상 감소
- 코스피, 외인·기관 매도로 하락 마감 '2601.56'… 코스닥은 소폭 상승
- 코스피, 장 초반 개인·외인 쌍끌이 '2600선' 눈앞… 코스닥도 '900선' 회복
- 셀트리온 3공장 건설 작업환경 "너무해"… 노조 "노동자 고혈짠다" 파업예고
- 코스닥 4위 엘앤에프, 코스피 이전설에 주가 급등… 언제 옮기나?
- "합병 속도 내나" 셀트리온 3사, 주관사 선정 완료
- 대한상의·제주개발공사, 'GS1 QR' 도입 확산 맞손… "폐트병 재활용률 높아질 것"
- 대형마트 제치고 백화점 넘보는 편의점, 유통 1위 되나
- [메타센서] 서정진 회장이 셀트리온 3형제 합병에 그토록 공들인 이유는?
- 셀트리온 서정진 "필요하면 M&A도 병행"… 노림수는?
- 셀트리온,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 미국 특허 합의 완료
- 제약바이오산업계, 우크라이나에 의약품 등 긴급지원
-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내년 영업이익 1.6조원 예상"
- [셀트리온 대해부 ①] 셀트리온, R&D·제품생산 중심 거점
- [셀트리온 대해부 ②] 셀트리온헬스케어, 글로벌 유통망 만든다
- 제약바이오協, ‘백신원부자재 생산고도화 기술개발사업’ 워크숍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