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적자성 채무 729조4000억원, 올해 대비 9.9% 증가 전망
적자성 채무 비중·이자 지출 비용 증가… "재정 혁신 추진 중"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국가채무 가운데 별다른 대응 자산이 없어 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적자성 국가채무가 내년 800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3일 정부가 2024년도 예산안과 함께 마련한 ‘2023∼2027년 국가채무관리계획’에 따르면 내년 적자성 채무는 792조4000억원으로 올해 예산(721조3000억원)보다 9.9% 늘어난다. 적자성 채무는 채무에 대응하는 자산이 없거나 부족해 세금 등을 재원으로 상환해야 하는 채무다.
일반회계 적자를 메우기 위해 발행하는 국채가 대표적이다.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국민주택채권처럼 대응 자산이 있어 자체 상환이 가능한 금융성 채무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정부가 국가채무 이자 비용으로 지출하는 금액은 오는 2027년까지 5년간 147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연도별로 보면 적자성 채무는 ▲2017년 374조8000억원 ▲2018년 379조2000억원 ▲2019년 407조6000억원 ▲2020년 512조7000억원 ▲2021년 597조5000억원 ▲지난해 676조원 등으로 최근 빠르게 늘었다. 내년 적자성 채무 전망치(792조4000억원)는 7년 전인 2017년의 2.1배 수준이다.
전체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적자성 채무의 비중은 지난해 63.3%에서 올해 63.6%, 내년 66.2%, 2025년 66.7%, 2026년 67.6%로 오르다가 국가 채무가 1417조6000억원 규모로 불어나는 2027년에는 68.3%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국가 채무가 늘면서 매년 이자로 지출해야 하는 돈도 늘고 있다. 이자 지출은 올해 22조9000억원에서 내년 27조4000억원, 2025년 29조6000억원, 2026년 32조3000억원, 2027년 34조8000억원으로 연평균 11.0%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는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적자성 채무 증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공자기금 국채이자가 올해 19조2000억원에서 2027년 30조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내년에는 국세 수입 규모 감소에 따라 일반회계 적자국채 발행 규모가 증가하지만 2025년 이후 2024년 대비 발행 규모가 축소될 전망”이라며 “건전재정 기조를 견지하며 강력한 지출 재구조화, 재정준칙 법제화 등 재정 혁신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LH, 소송도 몰아줬다… 소송 수임 상위 변호사 모두 '전관'
- 추경호 "中 부동산 위기, 우리 경제에 영향 거의 없을 것"
- 코레일 신형열차 'ITX-마음', 첫 운행부터 '하자 민원'
- LH, 5년반 동안 법카 2000억 썼다… 휴일 하루 164만원 소비
- [내집 마련 캘린더] 집값 반등 속 여전히 거센 '청약광풍'
- 하자 많은 건설사 15곳 중 5곳,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권
- "더워서 못살겠다"… 찜통더위에 8월 전기 사용량 '역대 최대'
- 호날두·드록바 넘었다… '캡틴' 손흥민, 헤트트릭으로 EPL '106호골'
- 한국, '유럽의 환자' 전락한 독일과 닮은꼴… 성장 모멘텀이 없다
- 합참 "북한 장거리 순항미사일 성공 주장, 평가 과장됐다"
- 기업 실적 부진에 세수펑크액만 '51조원'… 정부 "예상했던 흐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