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산업통상부 장관, "현대차 인수작업 한다"
러 정부, 자국 철수 기업 자산 강제 국유화 작업
연 20만대 공장… 2년 내 되사는 바이백 조항 넣을듯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현대자동차 러시아 생산공장의 강제 매각 가능성이 제기됐다. 일각에선 사실상 러시아의 ‘강탈’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지난 25일(현지시간) 리아노보스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데니스 만투로프 러시아 산업통산부 장관은 이날 카자흐스탄 이노프롬 산업전시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현대차 공장 인수와 관련해 이미 모든 결정을 내렸다”며 “적어도 회사 측이 직접 밝힌 만큼 조만간 결론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는 “러시아 공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놓고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원론적 입장을 내놨지만 러시아 중앙정부 고위 관료가 공장 매각이 임박했다는 취지로 공개 발언을 한 만큼 현실화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전까지 러시아시장 판매량 1위를 기록할 만큼 인기를 끌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의 생산 능력은 연간 20만대로 소형 세단 솔라리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크레타 등을 양산했다.
하지만 지난해 개전 이후 국제사회 제재로 러시아에서 자동차 부품 수급이 어려워지자 그해 3월부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현재 러시아 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자국에서 철수하는 외국 기업 자산을 강제로 국유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일본 닛산은 공장 등 러시아 내 자산을 6년 내 되살 수 있는 ‘바이백’을 조건으로 단돈 1유로(1418원)에 러시아 국영 자동차개발연구소인 ‘NAMI’에 매각한 바 있다.
일본 토요타도 지난 3월 NAMI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매각했고, 프랑스 르노는 지난해 5월 러시아 자회사 지분을 러시아 정부와 모스크바시에 넘기고 철수했다.
현대차는 공장 매각 후 2년 안에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옵션을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언제쯤 해소될지 알 수 없다는 점이 최대 변수로 지목된다.
일각에선 러시아의 행보가 사실상 ‘강탈’과 다름없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백 조항을 넣더라도 2년 안에 러시아 제제가 정상화 될 것이란 보장이 없다”며 “바이백이 무용지물이 된다면 사실상 러시아에 공장을 강탈당하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 현대자동차, EV세일페스타 실시… 연말까지 할인혜택 제공
- [메타센서] 가열하는 고려아연 지분 싸움, 최씨-장씨 누가 이길까
-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N' 출범 8주년 기념 '2023 N 버스데이' 개최
- [EV 대전 ③] '미래차 상징' 테슬라, 하이테크 입지 굳힌다
- [EV 대전 ②] 50년 전기차 노하우로 화려하게 귀환한 'BMW'
- [EV 대전 ①] 일류 전기차기업 도약하는 '현대차·기아'
- 현대차, 인도 현지 딜러 만족도 1위… 2위 스즈키와 압도적 격차
- 프로모션·할인·무상점검… 추석 맞이 완성차업계 혜택총 정리
- 현대차, 9월 글로벌 35만7151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0.1%↓
- 현대자동차, 생성형 AI 기술 활용 '디 올 뉴 싼타페' 영상 공개
- [메타센서] 현대차 러시아공장 사실상 '강탈'… 단돈 14만원에 매각
- [메타센서] 현대차가 외교관 출신 줄줄이 영입하는 까닭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