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산업통상부 장관, "현대차 인수작업 한다"
러 정부, 자국 철수 기업 자산 강제 국유화 작업
연 20만대 공장… 2년 내 되사는 바이백 조항 넣을듯

현대차 러시아 공장 모습. 연 20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현대차 러시아 공장이 강제 매각 위기에 처했다.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 러시아 공장 모습. 연 20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현대차 러시아 공장이 강제 매각 위기에 처했다. 사진=현대자동차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현대자동차 러시아 생산공장의 강제 매각 가능성이 제기됐다. 일각에선 사실상 러시아의 ‘강탈’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지난 25일(현지시간) 리아노보스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데니스 만투로프 러시아 산업통산부 장관은 이날 카자흐스탄 이노프롬 산업전시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현대차 공장 인수와 관련해 이미 모든 결정을 내렸다”며 “적어도 회사 측이 직접 밝힌 만큼 조만간 결론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는 “러시아 공장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놓고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원론적 입장을 내놨지만 러시아 중앙정부 고위 관료가 공장 매각이 임박했다는 취지로 공개 발언을 한 만큼 현실화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전까지 러시아시장 판매량 1위를 기록할 만큼 인기를 끌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의 생산 능력은 연간 20만대로 소형 세단 솔라리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크레타 등을 양산했다.

하지만 지난해 개전 이후 국제사회 제재로 러시아에서 자동차 부품 수급이 어려워지자 그해 3월부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현재 러시아 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자국에서 철수하는 외국 기업 자산을 강제로 국유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일본 닛산은 공장 등 러시아 내 자산을 6년 내 되살 수 있는 ‘바이백’을 조건으로 단돈 1유로(1418원)에 러시아 국영 자동차개발연구소인 ‘NAMI’에 매각한 바 있다. 

일본 토요타도 지난 3월 NAMI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매각했고, 프랑스 르노는 지난해 5월 러시아 자회사 지분을 러시아 정부와 모스크바시에 넘기고 철수했다.

현대차는 공장 매각 후 2년 안에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옵션을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언제쯤 해소될지 알 수 없다는 점이 최대 변수로 지목된다.

일각에선 러시아의 행보가 사실상 ‘강탈’과 다름없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백 조항을 넣더라도 2년 안에 러시아 제제가 정상화 될 것이란 보장이 없다”며 “바이백이 무용지물이 된다면 사실상 러시아에 공장을 강탈당하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