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덕특구 50주년 기념 기술사업화 박람회 및 우수성과 전시회’ SK이노베이션 전시관에서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 강병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19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덕특구 50주년 기념 기술사업화 박람회 및 우수성과 전시회’ SK이노베이션 전시관에서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 강병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올해 연구개발(R&D) 경영 40주년을 맞은 SK이노베이션이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 그간의 연구개발(R&D) 성과를 일반에 공개했다. 

SK이노베이션은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주관하는 ‘대덕특구 50주년 기념 기술사업화 박람회 및 우수성과 전시회’와 ‘대기업 성과전시’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이날 개막한 전시회는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며, 경제성장에 기여한 대덕특구의 지난 50년 R&D 성과를 돌아보고 공공기술 사업화와 투자유치 촉진을 위한 자리다.

앞서 SK이노베이션은 1983년 울산에 ‘기술개발연구소’ 설치를 결정한 뒤 R&D 경영을 본격화했다. 이후 1995년 대덕특구에 사내 곳곳의 R&D 역량을 한데 모은 ‘대덕기술원’을 추가로 마련했다. 

기술원은 이런 노력 등을 통해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으로 거듭났다. 실제 이차전지, 분리막(LiBS), 고품질 윤활기유 등 SK이노베이션 계열의 성장과 그린(Green) R&D 성과를 내는 등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국가 과학기술 역량이 모인 대덕의 풍부한 R&D 기반을 바탕으로 성장한 기술원은 고 최종현 SK그룹 선대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R&D 중시 경영이 더해지며,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행사에서 국가 경제개발과 에너지 주권의 초석을 마련한 1962년 창립 정신을 바탕으로 한 기술개발 성과와 미래 Green R&D 비전을 전시했다. 

공정을 비롯해 촉매, 합성, 분석, 금속 등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발돔움하는 데 축적된 기술은 물론 오늘날 세계적 수준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이 소개된다. ‘카본 투 그린’(Carbon to Green)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그린 에너지·소재 분야 성과도 대중에 공개된다. 

차세대 배터리, 자동차 경량복합소재, 전기차(EV)용 윤활유 기술 등의 실물 모양과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재활용 복합 단지 ‘울산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의 청사진이 대표적이다. 

또 울산 ARC에서 구현할 3대 화학적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에 대한 소개와 함께 버려진 플라스틱이 에너지 자원으로 거듭나는 ‘도시유전’ 과정과 SK이노베이션 계열이 탄소 저감 에너지원으로 꼽는 소형모듈원전(SMR), 수소 및 암모니아 관련 기술전략도 확인할 수 있다.

전시는 22일까지 열리며, SK이노베이션은 관람객이 보다 기업의 전략과 관련 기술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슨트 투어’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시를 더욱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도록 퀴즈 이벤트도 열어 정답을 맞힌 관람객에겐 소정의 사은품을 증정할 방침이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대덕특구 50년은 국가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업들이 체계적 R&D 경영으로 세계적인 반열에 오를 수 있었던 밑거름”이라며 “앞으로도 그린 에너지·소재 R&D로 대덕특구의 미래 50년을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