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장교동 한화그룹 본사 전경. 사진=한화
서울 종로구 장교동 한화그룹 본사 전경. 사진=한화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호주 정부가 방산기업 오스탈(Austal)을 전략 자산으로 지정하고 외국 자본의 경영 참여를 제한하는 조항을 마련했다. 

한화그룹은 오스탈 지분 확보가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전략적 협업을 위한 것으로 오스탈의 경영권 인수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지분 확대 계획은 쉽지 않은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6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오스탈은 최근 신규 자회사 ‘오스탈 디펜스 십빌딩 오스트레일리아(Austal Defence Australia)’를 설립하고 호주 정부와 상륙정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대형 8척, 중형 18척 등 총 26척 규모로 2032년까지 인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오스탈은 호주 정부로부터 ‘전략적 조선 업체’로 지정됐으며, 이에 따라 정부의 강력한 통제권한이 부여됐다. 앞으로 제3자가 오스탈 지분 20% 이상을 확보할 경우 호주 정부는 신설 자회사인 오스탈 디펜스 십빌딩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분을 강제로 매입할 수 있는 조항을 마련했다. 방산 핵심 자산에 대한 외국 자본의 영향력을 차단하겠다는 조치로 풀이된다.

이 같은 결정은 최근 한화그룹이 추진 중인 오스탈 지분 확대 계획과 직접 충돌한다. 한화는 현재 오스탈 지분 9.91%를 확보하고 있으며 호주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FIRB)의 승인을 받으면 최대 19.9%까지 늘릴 수 있는 상황이다. 이는 기존 최대주주인 타타랑벤처스(17.09%)를 제치고 경영권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수치다.

오스탈 헨더슨 조선소 전경. 사진=오스탈
오스탈 헨더슨 조선소 전경. 사진=오스탈

하지만 방산 자회사의 독립성과 기술 보호를 강조하는 호주 정부의 기조가 명확해지면서 한화의 지분 확대 가능성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오스탈은 과거에도 한화의 인수 시도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2021년 한화가 오스탈 인수를 추진했을 당시 이사회가 공식 반대 의사를 밝혀 무산됐으며 이후 지분 확대를 위한 심사 과정에서도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관련 해석을 놓고 양측 입장이 엇갈린 바 있다.

오스탈은 한화그룹의 조선·방산 사업 확장 전략에 있어 핵심 연결고리로 꼽혀 왔다. 미국 앨라배마주 모빌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에 주요 함정을 납품하고 있는 유일한 호주 조선사이기 때문이다.

한화 관계자는 “한화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오스탈 지분 확보는 인수와 무관하다”면서 “호주 정부의 조치 역시 자국 내 조선업 보호와 상륙정 건조 사업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한 조치로 보인다”고 했다.

업계에선 한화의 오스탈 지분 확보가 경영권 인수보다는 전략적 투자 차원인 것으로 보고 있다. 지분 한도 역시 19.9%로 제한된 만큼 직접적인 경영 참여보다는 앞으로 협력 가능성에 무게를 둔 행보라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