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비경영권 한계 겹쳐 투자 매력 부족… 조건 변경 불가도 발목

사진=서울와이어DB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정부가 보유한 NXC 지분 매각이 세 차례 연속 유찰되며 난항을 겪고 있다. 매각 대상은 고(故) 김정주 전 NXC 의장의 유가족이 상속세 대신 물납한 지분으로, 평가액은 4조원 중후반에서 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대형 매물이지만 매각 시장의 반응은 냉담하다. 업계에서는 구조적 한계와 법적 제약이 겹치면서 당분간 성사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5일 마감된 예비입찰이 성사되지 않자, IBK투자증권을 주관사로 지정해 27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재공고에 나섰다. 매각 조건과 가격은 기존과 동일하며, 마감 기한은 다음 달 8일까지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이번에도 원매자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찰이 반복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비상장 주식의 한계다. NXC는 상장사가 아니어서 유동성이 낮고, 기업가치 평가도 불투명하다. 원매자가 지분을 확보해도 단기간에 현금화하기 어려운 만큼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기엔 부담이 크다.

둘째, 경영권과 무관한 소수 지분이라는 점이다. 이번 매각 대상은 NXC 전체 지분의 30.6%로, 최대주주 지위 확보가 불가능하다. 넥슨 경영권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만큼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 특히 공적 자산 매각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복수 원매자가 참여해야 유효 경쟁으로 인정된다. 단수 원매자만 참여하면 입찰 자체가 무효 처리돼 결국 유찰로 이어진다. 실제로 이번 NXC 매각도 경쟁 구도가 형성되지 못한 것이 유찰의 직접적 원인으로 꼽힌다.

셋째, 법적 제약이다. 현행 제도상 재공고 시 매각 조건과 가격을 변경할 수 없다. 동일 조건으로 입찰을 반복할 수밖에 없어 투자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크다. 조건 조정은 다시 유찰돼 수의계약으로 전환될 때에야 가능하다.

정부는 이번 입찰 실패가 예산 집행에 차질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연내 매각을 반드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올해 예산에는 NXC 지분 매각을 통한 세외수입 3조7000억원이 반영되어 매각 지연이 재정 운용 차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조건이 바뀌지 않는 한 원매자 확보는 사실상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만 현행 법령상 동일 조건의 입찰이 반복적으로 무산될 경우, 추후에는 수의계약으로 전환해 조건을 일부 조정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 그러나 정부가 이를 공식적으로 언급하거나 추진 방침을 밝힌 적은 없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