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유플러스
사진=LG유플러스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LG유플러스는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어린이날다 사회적협동조합과 손잡고 재난 상황 속 아동의 정서적 회복과 놀이권 보장을 위한 ‘찾아가는 이동형 놀이터’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재난 구호 활동이 상담 등 정적 지원에 치중했던 한계를 보완하고, 유엔아동권리협약(UNCRC) 제31조에 규정된 아동의 ‘놀 권리’를 현장에서 실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협약은 놀이가 트라우마 완화와 일상 복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권리 보장을 권고하고 있다.

이동형 놀이터는 전국 재난 현장에 신속히 배치할 수 있도록 조립·해체·운송이 용이한 모듈형 구조로 설계됐다. 주요 놀이 도구는 ▲인디언 천막(티피) ▲회전그네 ▲한글 가베교구 등이다.

인디언 천막은 아동과 자원봉사자가 함께 조립하는 방식으로 약 2시간 내 완성할 수 있으며, 사다리·미끄럼틀·밧줄 등을 연결해 자유로운 놀이 공간을 구성한다. 회전그네는 폐목재를 활용한 친환경 구조물로 최대 4명이 동시에 탑승 가능하다. 한글 가베교구는 자모음 블록을 활용한 퍼즐·쌓기 놀이로 창의적 체험을 지원한다.

세 기관은 지난 8월 경기 안산시에서 지역 아동 30여 명과 체험 행사를 열었으며, 오는 9월 고양호수예술축제에서도 시범 운영을 진행한다. LG유플러스는 검증 과정을 거쳐 내년부터 재난 구호 현장에 ‘이동형 놀이터’ 프로그램을 정식 도입할 계획이다.

주이규 경기도사회적경제원장 직무대행은 “사회적경제조직과 기업이 협력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 모델이 현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명섭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재난 상황에서도 아이들이 희망을 잃지 않도록 돕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며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해 밝은 세상 만들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이동형 놀이터 외에도 ‘휴대폰 배터리 충전 전용 차량’과 국내 최초 ‘반려동물 특화 구호소’를 운영하는 등 재난 구호 활동을 다각도로 확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