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공장 완공 지연 우려… 매출·세액공제 등 불이익
미국 시장 필요하나 반이민 정서에 빠른 해결 어려울 전망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집단 구금 사태를 겪은 배터리 공장 인력이 전세기편으로 귀국하지만 비자 문제가 기업들의 미국 사업에 장애물로 남아 있다.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HL-GA 배터리 회사) 건설이 늦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산업계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막 시작됐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공장 건설 작업에 최소 2~3개월의 지연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뇨스 사장은 "공장 건설 단계에는 전문 인력이 필요한데 사람들은 미국에 있지 않다"며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기술과 장비가 많다"고 말했다.
미국 시장의 중요성 때문에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공장 건설을 포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공장 건설을 전면 중단하진 않았지만 속도가 예전과 같을 순 없다"며 "전자여행허가(ESTA) 비자를 가진 사람은 귀국 조치했고 비이민 비자인 단기 상용(B-1) 비자를 가진 인원은 숙소 대기 중"이라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책임을 한국 기업에 떠넘겼다. 미국 언론 악시오스는 러트닉 장관이 한국 기업이 제대로 된 비자를 받아야 하고 문제가 생기면 본인에게 연락하라고 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체포·구금된 한국인 중 일부가 합법적인 비자를 가졌으나 구금 당했다는 문제가 제기돼 사태 해결은 안갯속이다.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에서는 연간 약 3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전기차(EV)용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었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1GWh당 약 3000억원의 매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는데, 2개월 이상 늦어지면 1조5000억원 이상 매출 손실을 볼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혜택도 받지 못해 피해가 커질 수 있다.
백악관 고위당국자는 조현 외교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대규모 대미 투자가 현실화하지만 현 비자 제도는 뒷받침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의 반이민 정서, 미국 이민법 관련 입법 절차의 복잡성 등을 고려하면 LG에너지솔루션 외에도 미국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