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품 최대 공급·상생 페이백 신속 집행 방침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추석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민생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당정은 15일 국회에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주요 부처가 참여한 협의회를 열고 물가 안정을 비롯한 임금 체불 해소, 산업재해 예방 등 현안 과제를 집중 점검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에서 “명절이라고 물가가 오르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약속한 역대 최대 성수품 공급이 실제로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생산 단계부터 가격 상승 요인을 살피고 현장에서 근본적인 해법을 찾겠다”며 “상생 페이백도 신속히 집행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도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해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지역사랑상품권의 효과가 소상공인까지 닿도록 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재난지역 피해 상황과 주민 안전도 꼼꼼히 챙기고 택배 노동자의 과로 대책, 긴급 의료·소방·치안 체계까지 세밀히 점검하겠다”고 설명했다.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경기가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지만 여전히 체감 경기는 냉랭하다”며 “물가가 안정되는 듯 보이지만 주요 농축수산물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추석을 앞두고 국민의 걱정을 덜어드릴 수 있는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그는 “주요 성수품 가격 상승을 체감하지 못할 수준으로 공급을 늘려야 한다”며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살리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도 했다.
아울러 한 정책위의장은 “명절 전까지 체불임금을 정산해 서민들이 따뜻한 마음으로 명절을 맞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협의회에서 “민생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며 “자본시장 활성화와 국민적 요구, 당의 입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을 50억 원으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