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업일 증가 덕...일평균 수출은 감소
자동차·헬스 강세, 수출 품목 다변화
대미 수출, 관세 부담에 감소세 지속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이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호황과 추석 연휴 효과로 조업일수가 늘어난 덕분이다. 그러나 한·미 관세 협상 지연 여파로 대미 수출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9월 수출액은 659억5000만달러(약 92조6500억원)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7% 늘었다. 월간 기준으로는 2022년 3월 이후 3년 6개월 만에 최대치다. 3분기(7~9월) 누적 수출액도 1850억3000만달러로 역대 분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 평균 수출액은 27억5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 줄었다. 올 9월 조업일수는 24일로 지난해보다 4일 많았다. 이 덕분에 주력 15대 품목 중 10개 품목이 증가세를 보였다.
9월 수출 호조는 반도체가 견인했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22% 증가한 166억1000만달러로 사상 최대 월간 기록을 두 달 연속 경신했다. 올해 들어서만 세 차례(6월·8월·9월)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자동차 수출도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순수전기차·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와 중고차 수출 확대 덕분이다. 자동차 부품은 6% 늘어난 19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바이오헬스 역시 35.8% 증가한 16억8000만달러로 고성장을 이어갔다.
대미 수출은 102억7000만달러로 1.4% 감소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자동차(-2%), 철강(-15%) 등 고관세 품목의 하락세가 지속됐다. 한국은 지난 7월 미국과 상호 관세율을 일부 조정했지만, 자동차·부품은 여전히 25%, 철강·알루미늄 등은 50% 관세가 유지되고 있다.
다만 반도체(21%), 무선통신기기(282%), 바이오헬스(38%) 등 일부 품목은 관세 영향권 밖에 있어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대중국 수출은 116억8000만달러로 소폭(0.5%) 증가했다. 아세안은 반도체·선박·일반기계 수출 호조로 110억6000만달러를 기록, 9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특히 대만으로의 반도체 수출은 52억1000만달러로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유럽연합(EU) 수출은 19.3% 증가한 71억6000만달러, 중남미는 34% 늘어난 30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