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밥상 압박 가중, 생활 서비스 요금도 일제히↑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지난 5년 동안 밥상 물가가 가파르게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식료품과 음료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이어온 가운데 특히 빵과 커피 가격이 40% 가까이 폭등해 ‘체감 물가’ 부담은 더욱 커졌다.
8일 국가데이터처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보다 22.9% 올랐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16.2%에 그친 점을 감안하면 먹거리 물가 상승세가 훨씬 가팔랐다.
품목별로는 과일과 유제품, 제과류 등 대부분 항목이 20% 이상 급등했다. 과일은 35.2% 뛰었고 우유·치즈·계란류도 30.7% 상승했다.
빵값은 무려 38.5% 올랐으며 케이크(31.7%), 떡(25.8%), 라면(25.3%) 등 주요 가공식품들의 가격 상승이 줄을 이었고 이로 인해 ‘빵 및 곡물’ 전체 항목의 상승률이 28.0%로 확대됐다.
고춧가루·참깨 등 부식용 식재료를 포함한 기타 식료품은 21.4%, 육류 21.1%, 수산물 20.0%로 모두 20%를 웃돌았다. 비주류 음료 중에는 커피·차·코코아류가 38.2% 오르며 눈에 띄는 가격 상승 흐름을 보였다.
생수·청량음료·주스류도 22.7% 상승했다. 주류는 13.1%로 상대적으로 완만했지만, 여전히 상승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연도별 상승률을 보면 먹거리 물가는 매년 고공행진을 이어왔다. 2020년 4.4%, 2021년 5.9%, 2022년 5.9%, 2023년 5.5%, 2024년 3.9%로 5년 내내 4~6%대의 높은 상승률을 유지했다.
이 기간 전체 물가가 0.5~5.1%대에 머문 것과 비교하면 식품 가격의 고착된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 요금 역시 크게 올랐다. ‘음식 및 숙박’ 부문은 24.8% 올랐으며, 외식 비용으로 분류되는 ‘음식 서비스’가 25.1% 급등했다. 식자재 원가 상승이 외식 물가로 전가된 결과로 풀이된다.
비누·샴푸·미용료 등이 포함된 ‘기타 상품 및 서비스’ 물가도 24.1% 상승했고 세제·청소용품 등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물가 역시 19.4% 올랐다.
주거비를 포함한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는 16.7%, ‘의류 및 신발’은 16.2%, ‘교통’은 15.9% 상승해 전체 평균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결국 서민 가계가 체감하는 생활물가 전반이 5년 새 눈에 띄게 높아진 셈으로 커피 한 잔, 빵 한 조각, 라면 한 그릇의 가격이 쌓여 체감 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해 “식품 가격의 구조적 상승이 일시적 현상을 넘어 장기 고물가 흐름으로 굳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