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복구율 30%, 직접 내려가 현장 확인
野 "예능 출연 논란 전환 시도" 정치권 해석 엇갈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오전 화재 피해 복구작업이 한창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방문했다. 추석 연휴 직후 연차를 내 휴식 중이던 대통령이 현장에 직접 나선 것은 이례적이다.
화재로 인해 국가 주요 전산망이 한때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진 만큼 사안의 심각성을 감안한 ‘책임 행보’로 풀이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 장애가 발생한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율은 30.2%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가운데 정부는 화재 발생 이후 2주가 지나서야 전체 장애 시스템 수를 기존 647개에서 709개로 수정하는 등 부실한 대응이 도마에 올랐다.
뒤늦은 정정 발표는 국민 불안을 키우고 정부 컨트롤타워의 기능 부재 논란을 불렀다. 이처럼 국가 행정 인프라의 신뢰가 흔들리는 상황에 대통령의 직접 방문은 현장 사기를 높이고 복구 동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명절에도 쉬지 않고 복구에 매달린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한 일정”이라며 “정치적 해석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일정의 배경을 다르게 본다. 추석 연휴 내내 이어진 JTBC 예능 ‘냉장고를 부탁해’ 출연 논란이 현장 행보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가 전산 대란 중에 대통령은 예능 카메라 앞에 섰다”며 “냉장고가 아니라 관세를 부탁한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이에 민주당은 “K-푸드 홍보 목적의 국가 이미지 제고 일정이었다”며 “가짜 프레임으로 발목 잡는 쪽이 오히려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고 즉각 반격했다.
대통령실도 이를 일축했지만, 여야의 공방은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직접 복구 현장을 찾은 것은 사실상 정면 돌파 성격이 짙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국가 시스템 혼란을 방치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로 국민 불안을 달래는 동시에, ‘예능 논란’의 초점을 정책 행보로 전환하려는 정치적 의도라는 것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도 전날 정부서울청사 상황센터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국가 전산망은 국민의 행정 안전망과 직결되는 핵심 인프라”라며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결국 이재명 대통령의 방문은 단순한 현장 점검을 넘어 정치·행정 양면의 위기관리 시험대로 해석되고 있다.
- 정청래 "APEC 기간 정쟁 멈추자"… 野 향해 '무정쟁 선언' 공식 제안
- 박성훈의 사과, 박수현의 칭찬… 설전 뒤 훈훈한 메시지 교환
- 국힘 "이재명 정권의 무능 끝까지 밝힌다"… 국정조사 공식 제안
- 대통령 지지율 하락 원인 제공(?)한 與… 개혁 속도 조절 나설까
- '사법개혁 2막' 돌입… 민주당, 조희대 대법원장 정조준 국감 예고
- LH, 토지보상금 '9조→1조'… 부채는 165조 '역대 최대'
- "퇴직 후 9배 연봉"… 경제부처 관료 300명, 대형로펌행
- 화재 14일만에 국정자원 찾은 李대통령… "예산·인력 신속 투입하라"
- 민중기 특검, 한학자 통일교 총재 기소… 정치자금법 등 4개 혐의 적용
- 李대통령 "소비쿠폰 효과, 국민이 직접 말한다"… 지역상권 주제 첫 토크쇼 개최
- 李대통령, 전 부처에 "여야 구분 없이 국정감사에 적극 협조"
- 李 대통령 "성역 없는 마약 외압 수사"… 야권 "검찰청법 위반' 맹공
